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성 인력의 사회 진출과 맞벌이 부부의 증가 등의 사회변화로 인해 조직구성원들의 일과 가족의 조화는 조직에게도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연구는 조직의 구성원들이 ‘일과 가족의 조화’와 ‘조직 효과성의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음을 밝혀낸 듀얼 아젠다(Dual Agenda)의 이론적 틀에 입각하여, 두 가지 변인에 동시에 영향을 미치는 부서의 업무과정 특성과 부서의 여성비율의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진은 지방자치단체의 한 부서를 중심으로 업구과정 특성과 여성비율의 효과에 대한 현장 관찰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가설을 검증을 위해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37개부서의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실시하여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부서의 부정적인 업무과정특성은 직장-가족 간의 갈등을 높이고, 부서의 성과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비율은 가족-직장간의 갈등을 낮추고, 부서성과에 대한 지각을 증진시키는 효과도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비율은 여성들의 부서 만족을 낮추는 효과가 일부 나타났으나, 남성들의 부서 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부서 내 여성비율의 효과가 남녀 간에 차별적으로 나타남을 시사해 주는 결과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로 인한 종업원 구성의 다양화를 어떻게 풀 것인가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준다.


Due to rising share of the female workforce and dual income family, meeting the demands for work-family balance became an important issue for corporate organizations. The dual agenda research posits that equity and family responsiveness are not adversarial to organizational functioning, but can increas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reate positive synergies. Based on the dual agenda perspective, we explored the effects of work process characteristics and proportion of women on departmental effectiveness and work-family balance of the employe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nature of work process characteristics, we conducted a participant observation at one department in a local government organization. We also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o 256 employees in 37 departments of the organization, of which data was analyzed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Th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work process characteristics increased work-family conflicts and decreased the perception of the departmental work outcome. The proportion of women employees decreased work-family conflicts and increased the perception of the departmental work outcome. The proportion of women employees decreased the department satisfaction of women but did not influence that of men. The results indicated asymmetric reactions to work group gender diversity among men and women.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about the issue of workforce diversity, which will ultimately improve the quality of lives and work of both women and 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