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직장과 가정은 개인에 있어 매우 중요한 두 영역이다. 전통적으로 성 역할은 명확히 구분되어 있었으며, 이들 두 영역간의 갈등의 소지는 적었다. 하지만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와 가정에 대한 기혼남성의 역할이 증가함에 따라 가정과 직장 영역이 더 이상 구분하기 어려워지고 기혼직장인의 직장과 가정간의 갈등에 대한 관심이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이 되고있다. 직장-가정갈등은 서로 양립하기 어려운 역할갈등의 한 형태를 의미하며, 이전 연구들은 직장-가정갈등이 직무태도, 직무성과 등에 밀접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직장-가정갈등의 선행요인과 결과에서의 성별차이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으로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이전의 연구들에 비추어 배우자의 취업여부가 직장-가정 갈등에서의 영향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기혼여성의 경제적 활동 증가와 더불어 기혼남성의 가정에서의 역할 증가로 인한 역할 모호성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가정갈등의 선행요인이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성(gender)과 배우자의 취업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직장-가정갈등의 원인은 시간에 의한 갈등, 긴장에 의한 갈등, 행동에 의한 갈등 3가지로 구분된다. 시간에 의한 갈등은직장과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에 필요한 시간에 의해 유발되며, 긴장에 의한 갈등은 직장에서 유발된 스트레스와 긴장이 가정에서의 역할수행에 방해할 때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행동에 의한 갈등은 직장과 가정에서의 행동불일치에 의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자들은 시간과 긴장에 근거한 갈등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종업원들은 개인 시간을 가족과 함께하고자하지만, 한국의 기업에서의 근로시간은 여전히 OECD 국가중 가장 높다. 이로인해 직장과 가정간의 갈등이 매우 높을 수 있으며 이는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최근 기업의 상시구조조정은 고용구조와 직무 변화를 유발하고 있다. 비정규직과 직무불안정성이 증가함에 따라 종업원의 역할갈등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간외 근무와 고용불안정성이 직장-가정갈등의 선행요인인지?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직장-가정간의 갈등에 근거하여 시간외 근무, 고용불안정성, 직장-가정갈등, 직무태도 및 조절변수인 성과 배우자 취업여부에 대한 실증모델을 제시하였으며 연구목적은 (1) 시간외 근무, 고용불안정성, 직장-가정갈등간의 관계를규명하고, (2) 이들 관계에서 개인의 특성인 성, 배우자의 취업여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3) 마지막으로 직장-가정갈등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고자 기혼직장인 449명(남자 59.5%, 여자 40.5%)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중 회귀분석과 계층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간외 근무와 고용불안정성은 직장-가정갈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시간외 근무가 많을수록, 고용불안정성이 높을수록 직장-가정갈등이 높아졌다. (2) 직장-가정갈등은 종업원의 직무태도인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즉 종업원이 직장-가정갈등을높게 지각할수록 직무만족과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3) 성별 차이와 배우자의 취업여부의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다. 성별차이의 경우 시간외 근무와 직장-가정갈등간의 관계에서 성별차이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지만, 고용불안정성과 직장-가정갈등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배우자의 취업여부는 시간외 근무와 고용불안정성이 직장-가정갈등에 미치는 영향력관계에서의 배우자의 취업여부가 조절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에서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이 추가로 논의되었다.


Work and family are two major fields of one’s life. In the past, the role of each gender has been separated in the family, and there was a comparative low conflict between two fields. However, the percentage of married women who participate in the workforce is increasing and the family demands of married men are also. theses change make consider work-family fields as a whole and role conflicts between family and work in the married employees are receiving interests by researchers recently. Work-family conflict is a form of the inter-role conflict in which in compliance with one of the role pressures from either the work or family field makes it more difficult to compliance with one of the other. according to Studies on work-family conflict, it may be caused by work-related stressors and characteristics and predict family-related affective and behavioral outcomes, ultimately affect employee’s job performance outcomes negatively such as job attitudes and work performance. One important issue that is not well studied is gender differences in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ork-family conflict. Thus far, only modest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role of gender as a moderator of antecedents-conflict relationships. It is a reasonable assumption, given the literature on work-family conflict, that dual-career couples are most affected by work-family conflict. This research was to study gender differences and dual earner family as a moderate variables in work-family conflict and its antecedents. Sources of work-family conflict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ime-based conflict, strain-based conflict, and behavior-based conflict. Time-based conflict is caused by lack of time to play a given role in work or family. Strain-based conflict is that fatigue and conflict in work(or family) obstruct another role in family(or work). finally Behavior-based conflict is cause by discordance in role with work and family. Researchers studied this paper based on time and strain. Although employees want to spend their free time with their family(or their children), the working hour of employees in Korean is still high comparing to OECD countries yet. So, there are a lot of conflicts between organizations and members because of deficient time with their family, and it affects on members work attitude negatively. Ordinary restructuring of corporate make employment structure and job to be changing. As part-time job and job insecurity is increasing. this make role conflict of employees based on strain.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that overwork and job insecurity are the anteceden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how these negative effects can be managed. This study described the work interference with family(WIF) and proposed a empirical model that links overwork, job insecurity, work-family conflict, job attitudes(job satisfaction, intension to turnover), and two moderating variables(gender, dual earner fami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verwork, and job insecurity, work-family conflict on the married employees, (2)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se relationships. (3) to understand relationships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employee’s job attitudes. For testing the hypotheses, Multi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ndertaken using data from 449 married employees(male 59.5%, female 40.4%). Results indicate that (1) an overwork and job insecurity effects positively work-family conflict of the married employees. namely the more overwork and job insecurity, the more work-family conflict, (2) work-family conflict affects negatively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3) gender difference and dual earner family are partially moderating effects between overwork, job insecurity and work-family conflict. namely gender is not moderating relationship between overwork and work-family conflict, but moderating relationship between job insecurity and work-family conflict. in addition to dual earner family , dual earner family is moderating variable among overwork and job insecurity effects work-family conflict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re also discussed with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