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불확실하고 복잡해진 오늘날의 경영환경에서 기업이 뛰어난 성과를 달성하려면 모순적 요소들을 수용하고 이를 기업경영에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운영의 주체인 조직구성원이 모순수용능력 즉, 역설적 사고능력을 가져야 한다. 우리는 개인의 역설적 사고능력을 인지복합성이라는 개념으로 포착하고 역설적 사고능력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에 비해 효율성 및 창의성 두 차원에서 더 높은 성과를 올리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동안 인지복합성 연구가 주로 모의실험이나 실험실 실험을 통해서만 이루어졌던 데 비해, 기업현장에 있는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한 우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인지적으로 복합적인 사람이 전통적으로 상호 모순 되는 성과차원으로 간주되었던 효율성과 창의성 성과에서 뛰어났다. 둘째, 과업복잡성이 낮은 경우에 비해 높은 경우에 인지복합성이 개인의 효율성 성과에 미치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효율성과 혁신의 동시 달성을 요구받고 있는 오늘날의 기업들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인지복합성을 가진 인적자원을 확보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Until the 1980s, most corporations built up their competitive capabilities on the basis of efficiency, stability, and predictability, while other values such as innovation, flexibility, and change were relatively neglected. However, in responding to ever-increasing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recent times, firms all over the world are trying to accomplish various incompatible objectives simultaneously (e.g., stressing innovation and at the same time trying to improve efficiency by reducing cost). In this vein, a growing number of researchers have turned their attention to paradoxical issues in organiz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paradox, an organization must hold opposing, even mutually exclusive characteristics simultaneously and manage them constructively.This study is an attempt to bridge an important research gap in the extant literature on management of paradox: that is, what kind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for employees to be successful in dealing with incompatible performance requirements. For that purpose, the study introduces a long-standing concept of psychology, cognitive complexity (CC), which is defined as the degree to which a multidimensional cognitive space is differentiated and integrated.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ividuals’ CC and two conceptually orthogonal indicators of job performance―efficiency and creativity. It is hypothesized that cognitively more complex employees will outperform cognitively less complex employees in both of the two performance dimensions(main effect). In addition, it is also postulated that as individuals’ tasks become more complex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