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기 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모형은 사무자동화 도구의 채택에 있어서 개인의 심리적 과정을 설명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TAM모형을 확장하여 다양한 컴퓨팅 환경, 즉 인터넷상의 웹 환경에 적용하려는 연구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TAM의 태도 개념의 조작화에 대한 연구와 사무자동화 도구와 웹 사용을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심리학 문헌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들은 정서적(affective) 태도와 인식적(cognitive) 태도를 구별하고, TAM에서의 정서적 태도의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또한 표본의 차이로 인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해서, 같은 표본을 사용하여 스프레드 쉬트(사무자동화 도구)와 인터넷의 웹 사용을 비교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정서적 태도와 인식적 태도를 분리함으로써 TAM 의 모형적합성를 개선시켰으며, 둘째, 과거 사무자동화 도구의 사용을 분석했던 TAM은 웹 사용에 있어서는 전혀 다른 심리적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origin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explains the personal psychological procedures in adopting office automation tools such as spreadsheet and word processors. The current study expands the application of TAM into the new computing environment - World Wide Web (WWW) on Internet. We paid special attention to a couple of issues: the operationalization of attitude construct and the comparison of office automation tool and WWW. Aligned with psychology literature, we distinguished between affective and cognitive attitude, and tested the influence of purifying attitude only with the affective measures in TAM. For the sake of diluting the sampling effect, we compared the usage of two different information technologies (spreadsheet and WWW) from the same sample.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 found that (a) separating the affective and cognitive components of the attitude construct produces a better model fit, and (b) WWW usage has different psychological mechanisms, whereas the past findings of TAM about office automation tool were repeated in ou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