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태적 DEA 모형은 비교대상이 되는 기업이 없거나 적절치 않은 경우 적용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정태적 DEA 모형의 적용 결과 효율성이 1.0으로 양호하다고 측정된 기업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효율성 개선치를 찾을 수 없었다. 그러나 동태적 분석기법 및 종단면 분석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원리에 근거하면 단일 기업에 대하여 다수 시점간의 동태적 효율성을 상대적으로 비교함에 있어 DEA모형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태적 효율성 비교에 주로 사용되어온 DEA모형을 이용하여 단일 기업의 다수 시점별 투입․산출요소에 대한 동태적 효율성 비교를 시도하였다. 이에 대한 실례 적용으로 국내 상장된 제약사를 대상으로 정태적 효율성 비교를 실시하고 효율적으로 평가된 기업에 대하여 동태적 효율성 비교를 실시하여 그 유용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그 결과 30개의 국내 상장 제약사 전체에서 정태적 효율성이 1.0으로 평가된 2개사 중에서 1개사는 동태적 효율성이 양호하였으나, 1개사는 투입․산출요소에 대한 개선의 여지를 발견하였다.


The static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model can hardly be applied to measure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a company if there exist no comparable or appropriate companies. Even if the static DEA models are applicable, the business unit with efficiency value of 1.0 does not know the possibility of further improvement in its managerial efficiency.Previous research on the dynamic analysis and longitudinal section analysis methods indicates that a DEA model may be used in comparison of the dynamic efficiency in multiple periods for a single company. In this paper we suggest an improved approach to break such a tie-up situation: a dynamic efficiency comparison of a single company's input and output factors for multiple periods using the DEA model.For a case study, we used managerial data of 30 pharmaceutical companies listed in Korea Stock Exchange. The static DEA model could check the efficiencies of the 30 companies. Among them, two companies showed the same static efficiency of 1.0. This means the two are the best and tie. Here, with the proposed dynamic DEA approach, we found that one company had really achieved positive efficiency enhancement in dynamic sense, but the other could get more improved in terms of input and output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