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환경 친화적 구매, 사용, 처분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 이러한 연구단위들 사이에서 환경에 대한 정서의 매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부와 기업이 제공하는 친환경 교육, 환경 친화적 광고 및 홍보, 캠페인활동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안이 무엇인가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에 대한 주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환경 친화적구매행동과 사용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정서를 통해서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에 대한 객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환경 친화적 처분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정서를 통해서 구매, 사용, 처분행동에 간접적인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는 환경에 대한 주관적, 객관적 지식이 환경 친화적 행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관계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정서를 매개로 한 영향관계까지도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환경에 대한 정서는 환경 친화적 구매, 사용, 그리고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환경지식이 환경에 대한 정서를 관리하는데 효과적인 수단이 됨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들의 환경에 대한 정서의 영향력을더 높이기 위해서는 정부의 환경캠페인 혹은 환경교육, 기업의 그린제품에 대한 광고개발 시, 보다 소비자의 감성에 요구할 수 있는 환경의 심각성, 그린제품의 이점을 강조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결국 정부와 기업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환경을 보존해야 하는 것이 왜 필요한지에 대한 일관성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더나아가 생활에서 우선적으로 환경을 생각하는 행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bigger concern of consumers about the environment appears to have little discernible impact on Korea consumers’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refore,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prediction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needs to be analyzed more comprehens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dictor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of Korean consumers and test inter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ffect, and eventually,provides a conceptual model indicating how environmental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guide individuals’ pro-environmental behavior (green buying, green product use, and proenvironmental disposal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6 green consumers who live in Seoul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PSS/WIN and AMOS 16.0. In order to test unidimensionality and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of each construct we employed scale refinement procedur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 and reliability test with Cronbach’s α’s warranted unidimensionality of the measures for each construct. In addition,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was warranted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6.0.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appeared as follows: χ2=190.666(df=90, p=.000), GFI=.945,AGFI=.917, RMSEA=.052, IFI=.965, CFI=.964. Since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demonstrated a good fit, we could further analyze our data. The bigger concern of consumers about the environment appears to have little discernible impact on Korea consumers’ pro-environmental behaviors. Therefore,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prediction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needs to be analyzed more comprehensive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redictors of pro-environmental behaviors of Korean consumers and test interrelationships among environmental knowledge and affect, and eventually,provides a conceptual model indicating how environmental objective and subjective knowledge guide individuals’ pro-environmental behavior (green buying, green product use, and proenvironmental disposal behavio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16 green consumers who live in Seoul and were analyzed using frequence,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and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PSS/WIN and AMOS 16.0. In order to test unidimensionality and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of each construct we employed scale refinement procedur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 and reliability test with Cronbach’s α’s warranted unidimensionality of the measures for each construct. In addition, nomological validity of the measures was warranted from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16.0.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appeared as follows: χ2=190.666(df=90, p=.000), GFI=.945,AGFI=.917, RMSEA=.052, IFI=.965, CFI=.964. Since the result of the overall model analysis demonstrated a good fit, we could further analyze our da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