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paper aims to the examine consequences of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We focus on the real activity based earnings management using a sample of suspect firms which are likely to be engaged in earnings management upward, seasoned equity offering(SEO) firms. We find that managers attempt to inflate their reported earnings around the SEO, specifically in the fiscal year prior to the SEO and they use real activities in addition to accruals enhancing stock prices. Operating performances after earnings management significantly declines but these underperformance are recovered in the third year after earnings management. This could be caused by accruals reversion but firms classified as being engaged in real activity based earnings management show underperformance for a long time subsequent to the earnings management. In particular, firms having lower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report abnormal accruals and real activities for inflating earnings before the SEO and show underperformance after that because those firms are expected to have weaker internal control system. Thus we infer the largest shareholder’s ownership is one of factors to manage earnings and negatively influence on subsequent performance. The results of earnings managements and those consequences around the SEO are consistent with Yoon and Lee(2001), but much pronounced when we examine abnormal real activity as another proxy of earnings management. Consequences of real activity based earnings management using SEO firms are the first empirical evidence reported in Korea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se empirical evidences provide an insight into future real activity based studies even though it is based on the estimated proxies of earnings management.


본 논문은 기업의 이익조정과 이익조정이 차기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익의 상향조정이 의심되는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기업의 유상증자사건을 중심으로 유상증자 이전의 이익조정여부와 이후의성과를 실증 검증하고 이익조정의 방법으로는 발생액 외에 실질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방법을 추가하여분석한다. 이를 위해 1995년부터 2007년까지의 연구기간 동안 381개의 유상증자표본을 이용하여 발생액과 실질활동을 이용한 이익조정행위가 존재하는 지 여부와 이익조정 이후의 영업성과를 단일변량분석과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다. 연구결과, 경영자는 유상증자 직전 회계연도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발생액 외에 실질활동을 이용하는것으로 나타났고 이익조정후의 영업성과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익조정 이후의 저조한 영업성과는 표본 전체기업을 대상으로 했을 때 발생액의 반전으로 인하여 2차년도 까지만 지속되나, 실질활동을 이용한이익조정그룹으로 분류된 기업들은 유상증자 이후의 저조한 영업성과가 장기간 지속되었다. 특히 내부통제가 상대적으로 취약할 것으로 예상되는 최대주주의 지분율이 낮은 기업의 경우에도 유상증자를 위한 이익조정이 발견되고 이익조정이후에도 저조한 성과가 지속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최대주주의지분율이 이익조정 시 하나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차기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유상증자 전 이익조정 시점에 대한 일관된 결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본 연구에서는이익조정의 대용치인 비정상실질활동을 추가로 검증함으로써 일관된 이익조정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상증자를 위한 이익조정 이후 저조한 성과는 기존에 알려진 재량적발생액 외에도 비정상적인 실질활동치들로 인해 야기된다는 점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실증연구결과는이익조정의 대용치를 추정모형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한계점이 있지만, 이익조정방법을 선택하기위한 경영자의 동기 및 차후 실질활동과 관련된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