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SNS의 네트워크 특성이 사용자의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자본을 연결적 사회자본과 결속적 사회자본으로 분류하였으며,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과 관계적 특성이 사회자본의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또한 사회자본의 형성은 SNS에 대한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밀도와 중심성이 연결적 사회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네트워크 밀도와 네트워크에 대한 신뢰가 결속적 사회자본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결적 사회자본은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결속적 사회자본은 만족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은 지속적 이용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사회자본이론과 네트워크이론을 바탕으로 SNS상에서의 사회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네트워크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SNS와 사회자본 관련 연구의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마케팅 실무자에게 SNS 운영에 관한 실무적 지침을 제공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d the antecedents of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on SNS. The authors divided a dimension of social capital into bridging and bonding social capital, and suggested that structural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 of network would influence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addition, the authors suggested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would result i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NS. Specifically, the authors suggested hypothesis as follows. H1: Network density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H2: Network density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H3: Network centrality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H4: Network centrality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H5: Trust towards SNS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H6: Trust towards SNS will influence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H7: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will influence satisfaction towards SNS. H8: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will influence satisfaction towards SNS. H9: Satisfaction towards SNS will influence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NS. The authors surveyed SNS users and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survey. The results revealed that network density and centralit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while network density and trust influenced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In addition, the result verified that bridging social capital had an association with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NS; while bonding social capital had an association with satisfaction, not with continuance intention to use SNS. This result expanded the scope of SNS and social capital literature academically by verifying the antecedents of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on SNS. Also, practical implications for SNS practitioners were foll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