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인의 경우 전반적으로 가족관계와 직장 동료관계, 연고관계, 수평적 단체참여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개인속성 면에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행복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역시 성별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자본 요인이 상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은 가족관계, 직장 동료 및 상사관계, 연고관계, 정치활동참여가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여성의 경우는 지역활동참여가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이 여성에 비해 보다 다양하고 적극적 관계를 갖는 사람이 행복감을 보다 크게 느낀다는 점이다.<표 9>는 사회자본이 표현적 결과인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한국의 경우, 효능감에 대한 독립변수들의 전체 설명력은 29.1%이며, F값은 13.52로 p < 0.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을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하면 설명력이 여성은 25.0%, 남성은 60.8%였고, 각각의 F값은 6.37와 24.20으로 모두 p < 0.001 수준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효능감에 대한 독립변수의 통계적 유의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t값의 유의확률을 보면, 가족관계, 비연고관계, 수직적 단체참여, 지역활동참여, 정치활동참여, 성, 연령, 학력, 소득 등이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와 비연고관계가 친밀하고, 지역활동참여 및 정치활동참여가 높을수록, 연령과 학력이 높고, 소득이 높은 남성이 여성보다 효능감이 높으며, 수직적 단체참여가 높을수록 효능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성의 효능감은 동료관계, 연고관계, 지역활동참여, 정치활동참여, 연령, 학력, 소득 등이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동료관계와 연고관계가 친밀하고, 지역활동과 정치활동참여가 높을수록, 연령과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효능감의 경우는 가족관계와 상사관계, 연고관계, 비연고관계, 수직적 단체참여, 지역활동참여, 정치활동참여, 연령 등이 p < .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가족관계와 상사관계가 친밀하고, 정치활동참여가 높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효능감이 높게 나타난 반면, 연고관계가 친밀하고, 수직적 단체참여 및 지역활동참여가 높을수록 효능감을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hypotheses that the origin of disparity between men and women is from the process of social capital building. Women's social capital differently built from men's. This impacts on special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According to Lin(2000), inequality in different types of capital including social capital contributes to social inequality, such as socioeconomic achievements and quality of life. For the investment and mobilization of capital influence their results. 1,374 surveys are used for data in three capital citi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that is Seoul, Peking, and Tokyo respectively. This research finds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are different level of social capital between men and women in Korea, China, and Japan. Second, the disparity of social capital between men and women influences the differences of social status, level of happiness, and political efficacy between men and women. From these results, this paper discusses research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 ,

social capital, gender difference of social capital, gender difference of social status, gender difference of happiness, gender difference of political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