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에서는 2006년 처음으로 노동조합제도를 도입한 한국의 중앙정부 공무원(599명)을 대상으로 노조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실증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조몰입의 4개 하위변수에 따른 4개의 회귀모형과 1개의 종합모형을 설정하여, 노조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는 11개 독립변수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i) 노조조직 지원제도의 적합성, (ii) 동료/관리자의 인식·태도, (iii) 노조만족도, (iv) 노조공헌도, (v) 규범적 조직몰입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i) 노조활동 규제제도, (ii) 정부의 노사관계 운영, (iii) 노사문화 등은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정부의 공무원 노조정책 발전에 관한 시사점을 정부, 노조, 노조원 등 3주체의 관점에서 도출·제시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author performed an empirical analysis about factors influencing union commitment by Korean central civil servants, whose union system was introduced in 2006. The researcher established five multiple regression models in accordance with subvariables of union commitment and analyzed the impacts of 11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appeared that (i) appropriateness of union organization supporting system, (ii) colleagues & administrato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union, (iii) satisfaction with effects of union activities, (iv) contribution of union to public improvement, and (v)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nion commitment. While, (i) union activity regulating system, (ii) union policy operation by government, and (iii) government-union relationship & culture have negative effects on union commit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author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union policy for civil servants in the three actors’ perspectives: government, union, and public offic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