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봉사활동과 대학의 사회봉사 지원역량이 민주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확인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봉사활동과 민주시민의식의 영향관계를 고찰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또한 재학 중인 대학의 사회봉사 지원역량이 높을수록 민주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밝히기 위 해 대학의 유형과 사회봉사 지원제도, 사회봉사 교과목 수강율, 사회봉사 프로그램 참여율이 높은 대학과 낮은 대학을 다중집단분석으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봉사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민주시민의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대학 사회봉사 지원역량 중 사회봉사 교과목 수강율이 높을수록 민주시민의식이 높다는 점을 밝혔다. 따라서 시민역량을 키울 방안으로 대학생의 봉사활동은 효과적이며, 대학은 대학 간 사회봉사 지원역량에 관한 기준을 합의하고 사회봉사 교과목을 운영하여 내실 있는 봉사활동이 요구된다.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variation in the frequency of college students’ volunteering as well as variation in their institution‘s capacity to support volunteering behavior influences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ivic awareness. Specifically, in terms of institutional capacity of colleges, we investigated the availability of an independent office in charge of student volunteering activity, any curriculum-based volunteering courses, and access to volunteering programs sponsored by the college. Such institutional capacity variables as well as the type of college (two-year versus four-year) enrolled by students were posite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student volunteering behavior and the formation of civic awareness. Results from the multi-group analyses indicated that volunteering of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civic awareness, and that volunteering through curriculum-based courses as well as attending a four-year college positively moderated this relationship. Policy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