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국 사회의 급격한 인구 구성 변화는 다문화가정과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증가를 가져왔으며, 이들의 적응 및 이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의 해소 문제가 교육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 다문화교육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과인 사회과, 국어과 교사들의 다문화적 인식을 조사하는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다음 세 가지 연구문제를 가지고 있다. 첫째, 중등 국어‧사회 교사들은 어떠한 다문화적 태도를 가지고 있는가? 둘째, 중등 국어‧사회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중등 국어‧사회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다문화가정의 과반수가 거주하는 수도권 소재 중·고등학교 사회·국어 교사이다.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452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회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사들의 다문화적 태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다문화적 상황에서 가르치는 것이 보람된 일이라고 생각하는 한편 교사의 업무가 또한 증가하게 된다고 판단한다. 둘째, 다문화적 이해도에 대한 조사 결과, 대체적으로 높은 수준의 이해도를 나타내었다. 다만 상당수 교사들이 다문화가정 자녀가 높은 성적을 낼 것이라는 것을 기대하지 않는다는 항목에 동의한 것은 개선이 필요한 점이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목표에 대한 관점을 분석한 결과, 응답 교사들은 배려중심 접근법을 가장 많이 소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40대 이상의 연령층은 상대적으로 동화주의 관점을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바람직한 다문화교육을 위해 이러한 동화주의 관점은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Korea's population is becoming diverse,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Teachers must be prepared to teach students from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The purpose of this is to explore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social studies and Korean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the Metropolitan area of Korea. A total of 452 teachers(94 Korean teachers and 358 social studies teachers) completed the survey that is composed of three parts of questions: teacher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understanding/misconceptions, and the perspective of purpos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strong sensitivity toward issues of cultural pluralism in the classroom. Second, they knew the basic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ll. Third, they agreed with the goals of caring-centered multicultural education most strongly. Students need to be a good citizen in a multicultural society. To educate students to be an multicultural citizen, teachers must have high level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There is strong need to contain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pre/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