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국가수준 사회과 학업성취도 평가의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분석을 통해 성취수준별 특성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문항 분석의 기준으로 문항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행동영역과 자료의 친숙도나 복잡성의 정도 등 자료의 특성을 선정하여 이에 따라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수준별로 행동영역에 따른 차이는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 즉, 기억, 이해, 분석, 활용 능력을 재는 각각의 문항이 성취수준별로 두드러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자료의 특성에 따라서는 성취수준별 차이가 나타났다. 자료의 친숙도의 경우, 기초학력은 모두 자료의 친숙도가 높은 문항만 해당되는 반면, 자료의 친숙도가 낮은 문항일수록 우수학력을 대표하는 문항으로 나타났다. 자료의 복잡성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기초학력은 자료가 단순하게 제시된 경우만 해당되었고 자료가 복잡하게 제시된 문항일수록 우수학력 대표문항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성취도 평가와 사회과 수업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취수준별 특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앞으로 난이도 관련 변인 등 다양한 분석 틀을 통해 대표문항이 가지는 특성을 보다 면밀히 분석해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결과, 자료가 가지는 특성은 성취수준별 차이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회과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보다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개발하여 각 성취수준의 섬세한 차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앞으로 서답형 등을 활용하여 하나의 개념 혹은 원리, 주제와 관련하여 저차 사고력을 나타내는 문항과 고차 사고력을 잴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여 학생들의 사고력의 수준을 보다 분명하게 측정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 결과, 우수학력의 대표 문항은 자료가 낯설고 복잡한 특징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과 수업에서 복잡하고 친숙하지 않은 자료를 해석하고 의미를 스스로 찾아낼 수 있는 수업방법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bility of student in achievement levels.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questions of social studie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2004~2008. Specifically, in achievement levels we confirm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behavior area and examined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like degrees of complexity and familiar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ehavior area in achievement levels. Second, we recogniz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in achievement levels. In familiarity of materials, high degree of familiarity is related to basic level. In the complexity of materials, basic level is related to simple materials, but in excellent level, there are many items that have materials of high degree of complexit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1.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should be analyzed more closely through specified analytical framework. 2.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materials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3. Items should be developed to response on hierarchical thinking. 4. In social studies class, we need to facilitate students to interpret meanings of materials that are complicated and unfamili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