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사회참여 활동이 정치참여 의사에 연결되는 구조적 경로를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이론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이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을 매개하여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전국의 중・고등학생 5,373명을 대상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은 사회적 신뢰,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 자아 효능감은 정치참여 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신뢰의 경우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참여가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영향은 직·간접적인 효과가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공동체 의식과 자아 효능감이라는 매개변수를 경유한 간접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연구는 청소년들의 사회참여 활동이 태도에 미치는 관계 혹은 청소년들의 사회참여 활동이 직접적으로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서만 주목했다면, 본 연구는 청소년의 사회참여가 태도를 매개하여 정치참여 의사에 미치는 논리적인 구조를 경험적으로 분석했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사회참여와 정치참여를 매개하는 이론적 가설을 경험적으로 탐색해보고, 기존의 모형에 대한 한계를 수정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impact of youth participation on their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future. I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trust,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as mediat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participation and their intention of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 employing SEM and using NYPI data. The results of my analysis are as follow : First, youth participation experiences have direct effect on social trust,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Second,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hav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Third, sense of community and self-efficacy is a significant mediator in the pathway from youth participation to the intention to future political particip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