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단위 성과급제도에 대한 초등교원의 반응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제도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조사도구를 제작하고, 전국 초등학교 교원 1,86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원들은 학교단위 성과급제도 도입을 부분적으로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단위 성과의 평가지표 중 학업성취도를 활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단위 성과의 평가지표로 학교의 교육여건(규모, 소재지, 급지, 환경)을 고려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효율적인 학교단위 성과급제도 운영과 관련하여 다음의 시사점을 준다. 첫째, 학교단위 성과급제도는 점증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성과목표인 평가지표는 교육활동과 교육여건을 균형 있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여건과 지역 실정의 차이를 반영하고, 성과지표 설정의 자율권이 주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performance award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wo major research studies were conducted. First, this study conceptualized the notion of school-based performance award through reviewing the literatures and expert group interview. Second, this study analyzed teachers' perspectives by conducting a survey.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artial necessity of school-based performance award system, 2) negative perceptions of test scores, 3) positive recognition of educational conditions. The implications to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school-based performance award system. as follows: 1) deliberating an increasing approach, 2) reflecting both educational activities and environment, 3) enhancing the autonomy based on school-sited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