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고령의 초등학교 여교사가 인식하는 평교사로서의 직무와 관계에서의정체성 형성 과정을 분석하여 학교 문화의 일면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정년퇴직을 5년 남짓 남겨 둔 초등학교 여교사 2인에 대한 관찰과 심층면담에서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직무와 사회적 관계에서의 정체성 형성 과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고령의 여교사에게 나타나는 중심 현상은 노화에 의한 위화감으로인한 막연한 자기 개발이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핵심 범주는 자기주도적 진로결정에 의한 효능감 형성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고령 여교사의 정체성 형성 과정은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 되었는데 높은 교사 효능감은 능동적 정체성을, 낮은 효능감은 수동적 정체성을 형성하였다. 능동적 정체성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탈개인화에 의한 개인정체성 상실, 고령 여교사에 대한 사회적 편견, 진로 탐색에대한 수동적인 교사 태도 등이 제시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여교사의 정체성 확립을 조성하기 위한 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cess of building teacher identity of elderly,female teachers in their daily lives at elementary schools. Thus, two elderly female teachers, remaining around 5 years until their retirement, were participated as research cases. So, both teachers' narration from interviews recordings, this researcher's memos of her observations to their daily lives related to work and social relationships by casual meeting with them, and other materials from literatur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female teachers' psychological dissonance due to aging resulted in nonsensical actions for self development as a cental issue, and its central category for solution was to build self efficacy via self-directed decision making on their career. The process of building identity for elderly female teachers showed two types: high self efficacy has born active identity while low efficacy did passive identity. It was also noticed that loss of individual identity out of de-individuation, social prejudice to aged teachers, passive attitude of teachers to their career development interfered with building active identity. Finally,reconsiderations of current systems on teacher career development and supports were suggested to encourage elderly female teachers to have active ident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