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들뢰즈의 인식론에 해당하는 ‘차이생성적 인식능력이론’의 의미를 밝히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들뢰즈의 인식론은 사유 이미지에 근거한재현적 사유인 ‘앎’을 비판하고, ‘앎’을 가능하게 하는 차이 생성적 사유인 ‘배움’을 강조한다. 배움은 우연한 마주침의 대상에 의해 촉발된다. 이 연구에서는 첫째, 생성적사유인 ‘배움’의 성격을 밝히기 위하여 사유자에게 사유를 강요하는 ‘우연한 마주침의대상’이 지닌 특성을 분석하였다. 마주침의 대상은 ① 사유자의 신체에 감각밖에 될수 없는 감성적 차이를 제공하고, ② 사유자로 하여금 문제를 설정하게 하여 차이적기억을 생성하게 하며, ③ 사유자에게 ‘사유의 무능’이라는 동일성의 극단적 와해 상태를 경험하게 함으로써 새로움과 차이를 생산할수 있는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점을 논의하였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들뢰즈의 인식론이 지닌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교육적 시사점으로는 ① 교육은 새로운 차원의 인식틀을 창조하는 생성적 사유를 강조할 필요가 있고, ② 학습자의 내면의 이끌림을 강조하는 진정한 자발성을살려낼 필요가 있으며, ③ ‘사유의 영도 실험’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창조하는 활동을적극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Gilles Deleuze's epistemology,differential theory of faculty and to clarify its implications for education. Deleuze's differential theory of faculty is based on a generative thinking pursuing learning or apprentice, being critical of the representational thinking operating under the guidance of the image of thought. Deleuz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a generative thinking, which can be triggered only by the accidental encounter with things or events. The former part of the study dea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idental encounter with things or events. First, accidental encounter provides us with senses which can be felt only by our body. Secondly, it provides us with differential memory through setting up the problematics which can be made possible only by the accidental encounter with things or events. Thirdly, it provides us with the experience in which impotence of thought can be reached in the midst of the break-up of identity and in which the power of thought is strengthened to produce a newness or difference.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describes the implications of Deleuze's differential theory of faculty for education. First, education should be directed toward the production or creation of the new frame of thinking. Secondly, education has to be directed toward a voluntariness in which learner is forced to love to think. Thirdly, education should be permissive so that the experiment of zero point of thought can be tried in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