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전국의 초등학교에서 실시되었던 ‘책가방 없는 날’의 교육과정 개발․실행 측면에서의 의미와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당시 보고된 연구자료와 문헌자료를 분석하였고, 구술사 방법도 활용하였다. 책가방 없는 날은 교과서 중심의 학교교육 체제의 전환과 교육개혁 방안을 구현하기 위한예시적 모범, 직접적인 경험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자유학습의 날의 부활, 통합 교육과정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내용과 방법의 다양성 추구, 초등학생들의적성․소질의 발현과 학습주재 능력의 배양,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실행의 전문성신장에 교육적 의의를 둔 제도였다. 당시 교사들의 경험에 의하면, 책가방 없는 날은학생들에게는 다양한 체험중심의 즐거운 학습활동을 전개하는 날로서 수업주체의 전환을 시도한 제도였다. 그러나 프로그램 개발․실행상의 문제 때문에 교사들의 심리적 부담이 컸고, 인프라의 불비 등으로 인하여 본래의 의도대로 충실히 실행되지 못하였다. 또한 교과와 특별활동을 단순히 병합한 낮은 수준의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으로 실행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제고와 교육과정 전문성 신장, 직접 경험을 통한 학생들의 주체적 학습과 적성․소질의 발현을 강조하는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의 활성화, 단위학교 차원에서의 교육과정 통합적 실행의 확대를 시사점으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exploration of meanings of curriculum in 'Schoolbag free day'. In order to get out of textbooks-based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1990s, the Ministry of Education imposed Schoolbag free day on schools.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ange of textbook-based school education, an exemplificative models in order to embody the plan of educational reform, the restoration of Free Study Day, integrated curriculum. It focused on pursuit of diversified contents and methods for education, manifestation of the students' aptitudes and talents, develop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promot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ents pleasantly participated in learning activities. However, it was not satisfactorily implemented due to teachers' burden on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Also, it was theme-based integrated curriculums, but a low level. In the result of this exploration, I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namely improvement of the teachers' concerns about th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extension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curriculum, activ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expansion of curriculum integ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