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1, 3, 5학년 학생의 읽기이해 특성을 상위 읽기이해 처리 특성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가지 대표적인 글의 유형(이야기글, 설명글)에 따른 글의 구조에 관한 지식과 추론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읽기이해 검사를 개발하였고, 초등학교 1, 3, 5학년에 재학 중인 180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읽기이해 성취도 분석 결과, 이야기글의 경우, 읽기이해 성취도에서 학년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설명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글의 유형별로 글의 구조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 분석 결과, 이야기글의 경우, 이야기 문법 요소 중 인물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목적 또는 문제, 발단, 사건, 배경 순으로 나타났다. 설명글의 경우, 중심내용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가 세부 내용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글의 유형별로 추론에 관한 읽기이해 성취도 분석 결과, 이야기글과 설명글 모두에서 사실적 이해에 비해 추론 읽기이해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In this study, reading comprehension characteristics, specifically on higher-order reading comprehension processes, of 1st, 3rd, and 5thgraders were examined.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a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test was developed to test knowledge of text structures and inference making abilities for the two basic types of texts, narrative and expository. This test was administered to a total of 180 1st, 3rd, and 5thgrader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ading comprehension of narrative text among grade level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read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 Second, the results on knowledge of text structures of two types of texts indicat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characters was the highest for narrative text, and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main ideas was higher than that of details for expository text. Third, the results on inference making abilities of two types of texts indicated that reading comprehension achievement in literal questions was higher than that of text-based inferential questions and evaluative inferential questions for both narrative and expository texts. The summary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