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교육과정의 한 내용 영역인 경쟁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연계성 증진을 위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사 각 4명씩 총 8명이었다. 문서적 수준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교육과정 관련 문서와 연구 참여 교사의 교과서 분석 문서를 수집하였다. 또한 실천적 수준에서의 연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업관찰 및 교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 분석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문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계성은 (1)교육 목표와 내용에서 연계성을 강조하는 교육과정 문서, (2)기본 움직임에서 스포츠로의 비약을 보이는 교과서, (3)워크북에서 백과사전으로의 격차를 나타내는 교과서로 나타났다. 실천적 수준의 교육과정 연계성은 (1)아동 중심에서 교과 중심으로의 급격한 이행, (2)외적 연계성을 고려하는 실천에서 내적 연계성 강조로의 이행, (3)안내하는 교사에서 전달하는 교사로의 격차로 초․중학교 상호간에 교육과정 연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중학교 체육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교과서 검정 시 연계성을 주요한 검정사항으로 채택하고 초등학교에서의 내적 연계성 강화, 중학교에서의 외적 연계성 보완 노력 및 초․중학교 교사 교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icular continuity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in light of curriculum texts and curriculum implementation. Data collected from document analysis,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fieldnotes from class observations were analyzed inductively.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discontinuitie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invasion games in contents and representation styles of PE textbooks despite explicit emphasis on curricular continuity in official curriculum documents.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re were transition gaps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because elementary PE places child at the center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while secondary PE emphasizes PE subject and sport skills rather than individual students. To enhance curricular continuity, the National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clarify meanings and criteria of curricular continuity and also seek active exchanges among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through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