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줄넘기 운동이 시각장애 아동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고, 구체적으로 성별, 시력정도에 따른 인지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시각장애학교 초등부 전학년을 대상으로 줄넘기 인증제에 참여한 시각장애아동 46명과 줄넘기 인증제에 참여하지 않은 시각장애아동 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와 논의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첫째, 줄넘기 운동에 참여 한 시각장애아동은 줄넘기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시각장애아동보다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는다. 둘째, 줄넘기 운동에 참여한 시각장애아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더 많은 영향을 받으며, 전맹 아동보다 저시력 아동에게 있어서 인지적 자기효능감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셋째, 줄넘기 운동에 참여하지 않은 시각장애아동은 성별간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없으며, 시력정도에 있어서도 전맹 아동과 저시력 아동간 차이가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 rope-skipping exercise affected the self-efficacy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It's specifically meant to determine whether that workout had any different impacts on their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ir gender and eyesight.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elementary schooler who attended a school for the blind. Out of them, 46 children applied for a rope-skipping grading, and 32 children didn't.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First, the visually impaired children who got rope-skipping exercise excelled the others who didn't in self-efficacy. Second, in the former group, the boys were more affected than the girls in physical self- 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and the blind and low-vision children were under the greater influence of that workout in terms of cognitive self-efficacy. Third, in the case of those who didn't get that exercise, there was no gap in self-efficacy between the boys and girls, and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at regard between the blind children and low-vision children, ei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