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선행연구에서는 유도의 메치기 동작에 의한 뇌손상 및 저산소증에 의한 뇌 손상 후 사지의 근파워는 빠른 시간 내에 회복되지만 기억력이 현저히 저하되었다고 보고 한 바 있다(Owens et al, 1991).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시각장애유도선수들에 있어서 조르기 후 심박수가 안정시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신반응시간의 유의한 감소는 Owen et al(1991)의 연구결과에 귀인 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조르기를 멈춘 후 경동맥의 개방으로 대뇌활성도는 쉽게 회복되지만, 전신 혈류 재분배 능력의 회복이 감소한 때문으로 보여진다.현재 국내의 경우 시각장애유도에서 88년 서울올림픽과 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으며, 가장최근에는 2006년 세계유도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함으로서 효자종목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이러한 시각장애유도선수들의 기초 체력검사 및 과학적 훈련방법 도입은 물론 유도수행시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시각장애인 유도선수들을 대상으로 보다 과학적인 접근방법을 통하여 조르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을 구명하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hoking technique is an unique technique to pressure on common carotid artery, which can block blood circulation from heart to cerebrum.. To investigate potential risks of choking technique, national judokas who have visual impairment(B1~B3) were choked by Okuri-Eri-Jime. We observed intraocular pressure, heart rate, blood lactate, and the whole body reaction time. The choking time prior to unconsciousness was at average 20.6±1.5sec, and the recovery time was 180±0.4sec. Heart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choking(p<.05) and then it was recovered by resting value. Whole body reaction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choking (p<.05). which meant negative motor performance. But intraocular pressure and blood lactate level were not influenced by choking. According to the these results, Choking technique might partially cause negative performance in visual impaired national judoka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ultiple factors on potential risks in situation of practice and competition for visual impaired sport ev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