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검토 및 재고를 통해 직업 교과 확대 방안을 모색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한국과 일본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국제비교 연구를 통해서 한국에서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확대에 대한 담론(談論)을 제기하여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과 일본의 국가 수준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과 시각장애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교 수준의 직업교육과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은 다양한 장애영역의 특성 및 요구에 따른 고려가 상당히 미흡하며, 선택할 수 있는 교과 및 과목 수(9개 교과 18개 과목)도 지나치게 제한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 특수교육대상 학생들을 위한 직업교육과정은 12개 교과 77개 과목이며, 한국의 경우도 발달수준과 학업수행능력에서 거의 동질적인 특성을 보이는 일반학생들을 위한 전문(직업)교육과정은 10개 계열 448개 과목으로 세분화되어 있다고 할 수 있으나, 한국의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와 과목 수는 다양한 장애영역 및 선택 가능 직종에 비해 상당히 제한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택 교육과정의 기능은 다양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인 만큼 이를 위해 한국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도 일반학교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 선택 교과나 일본의 다양한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처럼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 장애학생들을 위해 다양한 선택 교과 및 과목들을 구성하고 편제하여 보다 많은 선택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체적인 개선 방법으로는 현행 특수교육 대상학생들을 위한 직업 교과 및 과목의 범위와 수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현행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서 교과별로 영역화되어 있는 세부 분야를 ‘이료’ 교과처럼 과목으로 전환하여 장애학생들에게 보다 심도 있고 전문성 있는 직업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교육과정 구성 방안들을 강구해 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제언으로, 국가 수준의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에 편제되어 있지 않지만 많은 특수학교(급)에서 자체적으로 편성하여 운영하고 있는 직업 교과들을 국가 수준 직업교육과정으로 개편하고, ‘이료’ 교과로 제한된 직업교육과정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학생들을 위해 일본의 예처럼 ‘이료’ 외의 다른 종류의 직업 교과를 확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정신지체학생들에 대한 다양한 직업 교과를 신설·확대하고, 학교 자체 설치 직업 교과의 경우에는 신설 교육과정 편제에 따른 제반 지원책(교사수급 추가 지원, 교과용도서 개발 및 편찬 경비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This study has its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and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by suggesting the discourse on the expansion of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internationally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and Japanese special school vac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finding a way of expanding vocational subjects through consideration and review of the current vocational education structure in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researched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and Japan and the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school level focusing the examples of high schools for visual impairment.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are lacking in consideration for the properties and requests of various disabilities and the number of courses and subjects available (18 courses in 9 subjects) is significantly limited. For example, the result shows that the vocational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in Japan are 77 courses in 12 subjects and the specialized(vocational) curriculum for general students in Korea who show almost identical quality in the level of development and performance capability are 448 courses in 10 categories. Based on this finding,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vocational education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s in Korea who need special education are significantly limited compared with their various types of impairments and selectable occupations. Second, the elective curriculum serves as provision of various opportunities. For this, it is suggested that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 Korea must provide more opportunities by organizing and forming various elective subjects and courses for student with disability in curriculum of the national level like specialized elective subjects in the option-centered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or the various vocational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in Japan. Third, it was suggested that, as a specific improvement method, it is necessary to seek a drastic expansion of the scope and number of vocational subjects and courses for the students who currently need special education and to consider a plan for organizing curriculum which can provide more in-depth and professional vocational education to the student with disability by converting the detailed courses that are categorized by subjects in the current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into regular subjects like ‘Medical Massage’ subject. Fourth, the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re as follows; ⅰ) reorganization of the vocational curriculum which are not organized in the special school vo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ut which are internally organized in many special education schools(classes) into a new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ⅱ) as in case of Japan, the identification of a plan for expanding various kinds of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ther than ‘Medical Massage’ for the visually impaired students who have no choice but to select the vocational curriculum limited to ‘Medical Massage’, ⅲ)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various vocational subjects for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ⅳ) in case of the vocational subjects established by schools, the provision of various supports according to organization of new curriculum (such as provision of additional teachers, development of course books, provision of funds for publishing such book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