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2015년 6월 15일 한국거래소(Korea Exchange)의 가격제한폭 확대가 코스피 200 지수 구성종목의 일중 가격발견 과정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사건 연구 접근법을 이용하여 고찰한다. 이를 위해 가격제한폭을 전일 종가 대비 ±15%에서 ±30%로 확대한 제도 변화 전후 각각 50 거래일을 대상으로 일중 가격발견 과정에서의 가격효율성을 비교하고, 다음과 같은 주요 변화를 발견하였다. 먼저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에서는, 장 초반 일부 구간에서 일시적인 주가 과잉반응 증가와 가격효율성 저하가 나타지만, 일중 가격발견 과정 전반적으로는 가격효율성이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시가총액, 상장주식수, 주가 등 종목 특성에 따른 부분표본에 대한 분석에서는, 상장주식수 하위 및 주가 상위 분위에 해당되는 종목이 장 중반 일부 구간에서 일시적으로 주가 과잉반응 증가와 가격효율성 저하를 나타내지만, 일중 가격발견 과정 전반적으로는 가격효율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는 코스피 200 지수 구성 종목의 경우, 가격제한폭 확대로 인해 일중 가격변동 범위가 넓어짐에 따라 일부 시간대 또는 일부 종목에서 일시적 또는 부분적으로 과잉반응가설(over-reaction hypothesis)을 지지하는 증거가 나타나나, 일중 가격발견 과정 전반적으로는 정보가설(information hypothesis)을 지지하는 가격발견이 이루어짐을 시사한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가격제한폭 확대라는 제도 변경이 주식시장의 질적 수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정책적 시사점도 제공한다.
Korea Exchange has widen daily price limits from ±15% to ±30% of previous trading day’s closing price since June 15, 2015.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he event of widening price limits affect price discovery process over the course of trading day. In order to conduct this investigation, we compare price efficiency during such price discovery before and after the event. The changes that has occurred after the even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analysis on full-sample indicates that price efficiency is maintained over the course of a trading, while it is aggravated temporary in two early intervals. Second, an analysis on sub-samples sorted by market capitalization, shares outstanding, or share price indicates that temporary aggravation of price efficiency in some mid-intervals is observed for shares outstanding lower group and share price top group.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evidence supporting information hypothesis is found for the whole process of price discovery over the course of a trading day, though evidence supporting over-reaction hypothesis is found in some intervals or some types of stocks.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Price Limits, Price Discovery, Price Efficiency, Over-reaction Hypothesis, Information Hypo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