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증을 경험하고 회복한 대학생들의 우울에 대한 심리적 특성과 우울극복 과정에 대한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우울증을 경험하고 극복한 14명의 대학생을대상으로 심층면담하여 이론적 표본추출을 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상징적 상호작용주의(symbolic interaction)의 철학적 기반을 가지고 있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적용하여 질적분석하였다. 대학생의 우울극복 과정은 핵심적으로‘타인의존성에서 벗어나 자기인생 경로 만들어가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핵심범주의 속성은 동기강화의 강약과 외부적인 환경과 내부적인 심리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기 자신의삶을 살아가려는 동기가 강하고 삶의 변화와 외부적인 사건에 맞서서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강하면 안정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지만 그렇지 못하여 자기 자신의 삶을 살아가려는 동기가 약하거나 삶의 변화와 외부적 사건에 맞설 수 있는 조절능력이 약해져서 지속적인 삶의 패턴을 바꾸기위한 모험을 시도하지 않거나 안주하려 할 때는 회귀현상이 일어나 다시 좌절과 절망에 빠져서방향성을 잃어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students' recovery experience of depression to explore thei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to find the structure of recovery process, and ultimately to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Fourteen college students recovered from depression were selected for intensive interviews. Data from the interviews was qualitatively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The analysis yielded the core category of “Replacing Turning to Others with Shaping Their own Life Course.” The properties of this core category differed by the level of the reinforcing motivation and the capacity to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internal state of mind. The strong motivation and the ability to cope with life changes helped to maintain a stable condition. Yet, the lack of them resulted in the relapse of despair and fru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