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신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를 가정하고 이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성인애착 척도(RAAR),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척도(SADS), 역기능적 신념 척도(DBT),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SSES)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16.0과 AMOS 16.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의 상관분석에서 사회불안은 불안정 성인애착(불안애착)과 역기능적 신념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고, 사회적 자기효능감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두 개의 매개변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본 연구의 연구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경쟁모형과 적합도지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역기능적 신념의 경우 완전매개모형인 경쟁모형의 모형적합성이 검증되었고, 사회적 자기효능감의 경우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의 모형적합성이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위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beliefs and social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419 students recruited from universities in theSeoul and Gyeonggi areas in South Korea. The Adult Attachment Scal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Dysfunctional Beliefs Test, and Social Self-Efficacy Scale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anxie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anxious attachment) and dysfunctional beliefs, while social self-effica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insecure adult attachment and dysfunctional beliefs. Second, dysfunctional belief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Third, social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present result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