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Sprecher와 Fehr(2005)가 개발한 자비적 사랑 척도(Compassionate Love Scale)를 국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국판으로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척도의 번역 및 역번역 과정을 거쳐 대학생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총 196명의대학생을 대상으로 척도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구인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원척도의 21문항에서 11문항으로 한국판 단축형 자비적 사랑 척도(CLS-K11)가 개발되었다. 교차타당화를 위한 연구 2에서는 총 19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나타난 단일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변별, 수렴 및 증분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개발한 11문항의 단축형(CLSK11)과 Hwang, Plante와 Lackey(2008)이 개발한 5문항을 번역한 한국판 단축형(CLS-K5) 그리고 21문항 원척도 모두에 대한 타당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원척도에서 나타난 단일 요인구조가 재확인되었으며, 관련 척도와의 상관분석에서도 높은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논의에서 연구의 이론적 및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the Sprecher &Fehr's Compassionate Love Scale.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and to examine correlates of compassionatelove. Study 1 was accomplished by administering the original 21-item scale to universitystudent participants (n=196) and subsequently selecting 11-items to comprisethe Korean Brief Version of the Compassionate Love Scale. Validity of theKorean Brief Version of the Compassionate Love Scale (CLS-K11) was also supported. In study 2 (n=199), a one-factor structure was supported via confirmatoryfactor analysis. The discriminant, convergent & incremental validities of the CLSK11scores were examined against the 5-item Santa Clara Brief CompassionateScale developed by Hwang, Plante, & Lackey (2008) and the original 21-itemCompassionate Love Scale. Clin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along with limitation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