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EU 교육정책에서 개방형 정책조정(OMC)을 통하여 설정한 목표와 지표체계를 살펴보고 벤치마크 분야에서 그 성과를 평가하였다. OMC는 2000년 리스본유럽이사회에서 제안된 유럽연합 회원국 사이의 정책조정 메커니즘으로 제재가 없는 연성조정방법을 활용한다. 교육정책분야에서는 OMC를 통하여 유럽교육의 현대화를 위한 13개의 하위목표와 그 성과를 모니터할 수 있는 지표들을 설정하고 2010년까지 달성하여야 할 5 개의 벤치마크를 설정하였다. EU 전체 및 27개 회원국가들을 대상으로 벤치마크 분야의 2006년 자료를 2000년과 비교한 결과 일정한 성과가 나타났으며, 회원국가들 사이에 수렴현상도 확인되었다. EU가 회원국가의 교육정책에 미친 영향을 하향적 관점에서 보면 벤치마킹을 통한 영향력 행사나 비난회피동기보다는 EU 차원의 담론 형성이 회원국가에서 벤치마크 분야의 성과와 수렴경향을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향적 관점에서는 OMC를 통하여 회원국가들이 다른 국가 교육정책의 정보에 대한 접근가능성이 매우 커졌으며 이를 토대로 정책학습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추론되었다.


This paper attempts to describe the󰡒Open Method of Coordination(OMC)󰡓process of the European Un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policy, and to evaluate its performance. OMC is a mechanism of policy coordination among European Union member states that relies on soft methods without coercive measures. OMC was first introduced at the 2000 Lisbon EU Summit. In the field of education policy, through the OMC process, thirteen policy objectives were set up, and in order to monitor the activities of member states for achieving those objectives, multiple indicators related to each objective were also selected. Especially five benchmark statistics that are aimed to be achieved by 2010 were chosen. From comparative analyses of statistical data during the period of 2000-2006 on the five benchmarks, it was found that, in three among the five benchmarks, some progress towards the objectives was made, and there are evidences of convergence among 27 member states measured by changes in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in the five benchmark statistics. From a top-down perspective, the progress and convergence trends can be explained by discourse initiated by EU, rather than by benchmarking or motives for finger-pointing or blame. From a bottom-up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through the OMC process, accessability of member states to education policies of other member states has greatly increased, and that policy learning occurs based on thi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