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임파워먼트 평가는 지역사회심리학, 행동인류학, 현장연구 등에 뿌리를 두고, 참여와 협동을 통한 자기평가와 개선, 자기결정 능력 향상 등 개인역량을 배양함으로써 주체적인 삶의 복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개인의 변화를 넘어 조직 그리고 공동체의 사회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제도개선과 사회변화를 추구한다. 이 평가는 10가지의 평가원리, 3단계의 평가과정을 통해 5단계의 평가의 주요 국면들을 거치게 된다. 한편 한국의 정부업무평가 중 자체평가는 임파워먼트 평가의 자기평가와 동일한 취지와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실제 운용은 그렇지 않아 지속적인 문제점을 노정하고 있다. 그래서 자체평가의 좀 더 실효적인 성과를 위해서는 임파워먼트 평가모형의 개념과 방법을 적용할 필요성이 있고 적용 가능성도 있음을 본문에서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자체평가제도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제시보다는 자체평가제도의 숨겨진 고유한 특성을 드러내고 더욱 발전시키는 관점에서 임파워먼트 평가모형의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Empowerment Evaluation” is rooted in community psychology, action anthropology, and action research. In addition, it features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t lives through building up every person’s capability which means the enhancement of self-evaluation, self-determination, and improvement. Moreover, the Empowerment Evaluation, including individual change, pursues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social change by increasing community’s capacity solving social problems. On the other hand, the Korea’s self-evaluation of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is very similar to the self-evaluation of the Empowerment Evaluation in purpose and meanings. The practice of Korea’s self-evaluation, however,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at of the Empowerment Evaluation; therefore, there remain a lot of problems in Korea’s self-evaluation in itself.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r necessity of applying the concept and methodology of the Empowerment Evaluation to Korea’s self-evaluation. The result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adopt the Empowerment Evaluation for developing the features and exposing hidden merits of Korea’s self-evaluation system. Consequently, this study shows that the Empowerment Evaluation can be used to supplement Korea’s self-evaluation, not to replace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