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동서양 신화 속에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재생과 변신 모티프들은 주체의 욕망과 그 발현 양상을 잘 보여준다.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주체의 욕망을 성취하거나 파국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는 신화를 다루고 있다. 도화녀와 비형랑의 이야기 속에 드러난 재생 모티프가 이루지 못한 원망(願望)의 성취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니소스와 조국을 배신한 스퀼라 이야기 속의 변신은 타자와의 교감을 시도하고자 하는 생의 근원적 욕망이 어떻게 죄로 연결되는가를 보여준다. 두 번째 장에서는 이별과 죽음을 극복하고 주체와 타자가 통합되어가는 과정을 제시해주고 있는 신화를 분석하고 있다. 연오랑과 세오녀의 이야기는 자연의 보편적 질서 속에 편입되는 인물을 보여주며, 퓌라모스와 티스베의 이야기에서 두 남녀의 비극적인 죽음도 자연물로 영원히 남게 된다. 분리된 두 주인공들이 필연적으로 결합할 수 밖에 없는 어떤 서사적 장치를 신화는 포함하고 있다. 치원대와 양산복의 이야기 속에서 두 주인공 역시 각기 다른 인물이 죽음을 통해 하나로 결합된다. 신체의 상이성을 극복한 자리에서 주체와 타자가 어떻게 봉합되고 있는지 보여주는 이러한 신화들은 이별과 죽음을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준다. 세 번째 장에서는 이야기를 통해 위기를 모면하거나 소망을 성취하는 신화를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야기 속에 이야기를 담고 있는 이중 구조를 가진 신화는, 그 자체로 신화의 기능과 그 서사적 가능성을 보여주는 ‘메타적’인 성격을 갖는다. 노래의 내용대로 소망을 성취하는 백제 무왕의 이야기와, 비극적 종결을 가진 사랑 이야기를 도구 삼아 오히려 현실의 사랑을 성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포모나와 베루툼누스의 이야기가 이 경우에 해당된다. 변신과 재생, 분리와 통합, 기능적 서사가 각 장에서 다루고 있는 핵심적 사항들이다. 신화가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공동체의 서사로서 오랜 기간 전승되어 온 것은 한 개인이 해결할 수 없는 보편적 조건을 집단적으로 조절하고 해소할 수 있다는 믿음에 의해서이다. 불완전한 신체적 조건과 상황에 대해, 견딜만한 의식의 세계와 심리적 공간을 구성해주는 데서 열린 서사로서 신화의 해방적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Structural character of ideology could be found in Myths, with universal principles of ruling human lif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yths in the present time by reconstructing the function of narration and investigating the function of it as a self-examination. One of the most remarkable motifs of myths is metamorphosis and rebirth. Characters in myths reveal godhood and manhood at the same time and the body changes by that mode. the story about Dohwanyeo and Bihyongrang(도화녀와 비형랑) shows the process of satisfying desire through rebirth and the story about Nisus and Scylla reveals how the desire leads to sin. A consciousness structured by the body, that is, the matter of possession, desire, and tab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myths. Husband and wife in the story about Yeonorang and Seonyeo(연오랑과 세오녀) are figured as ‘spirit of sun and moon’ and two different bodies in the story about Chiwondae and Yangsanbok(치원대와 양산복) story are united through death. Tragic death of a lover represented in the story about Pyramus and Thisbe is engraved into the color of fruit and eternalized. People experience the prototype of sustaining life and overcome death through myths symbolically. Mythic criticism ultimately aims to offer an insight into human nature and condition. An original will of human to get rid of restraints and seek freedom, and to pass the limit is included in the narration of myths. The reason why people read myths constantly is that will toward freedom and overcoming the adversity is immanent in every human being.


Structural character of ideology could be found in Myths, with universal principles of ruling human lif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myths in the present time by reconstructing the function of narration and investigating the function of it as a self-examination. One of the most remarkable motifs of myths is metamorphosis and rebirth. Characters in myths reveal godhood and manhood at the same time and the body changes by that mode. the story about Dohwanyeo and Bihyongrang(도화녀와 비형랑) shows the process of satisfying desire through rebirth and the story about Nisus and Scylla reveals how the desire leads to sin. A consciousness structured by the body, that is, the matter of possession, desire, and tabo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ubjects of myths. Husband and wife in the story about Yeonorang and Seonyeo(연오랑과 세오녀) are figured as ‘spirit of sun and moon’ and two different bodies in the story about Chiwondae and Yangsanbok(치원대와 양산복) story are united through death. Tragic death of a lover represented in the story about Pyramus and Thisbe is engraved into the color of fruit and eternalized. People experience the prototype of sustaining life and overcome death through myths symbolically. Mythic criticism ultimately aims to offer an insight into human nature and condition. An original will of human to get rid of restraints and seek freedom, and to pass the limit is included in the narration of myths. The reason why people read myths constantly is that will toward freedom and overcoming the adversity is immanent in every human 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