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문명론과 문화론을 영유하는 문학은 ‘어떤 근대문학인가’라는 질문과 통한다. 이 질문은 동양과 서양이라는 구도가 어디에서 기원한 것인가라는 질문, 그리고 한 민족과 국민, 국가의 문화와 문명이란 어떤 구도 속에서 형성되고 전개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와 서로 관련된다. 중요한 것은 문화론과 문명론의 구도 속에서 그 조선문학이 형성되고 전개되는 경로에 대한 균형잡힌 시각일 것이다. 이 균형은 다만 동양과 서양, 민족과 세계에 대한 상호 습합의 과정을 강조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한 문인 내부의 문학적 경로 속에서도 동일하게 고찰되어야 하는데, 이를테면, 최남선은 문명론에서 문화론으로의 비약을 통해 족수로 나아간 경우였고 김기림은 민족과 세계를 순차적 변환 속에서 보지 않고 시종일관 상호적인 교섭관계로 파악한 경우였다. 요컨대 최남선은 문명론과 문화론의 배타적 관계 설정을 시도한 경우이며 김기림은 보완적 관계설정을 시도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이런 태도는 시국의 위기 국면을 돌파하는 자세와도 연결되었다. 최남선은 위기하의 절망 속에서 국수주의적 태도의 배타성을 전면화하였고 김기림은 일제말의 위기 속에서도 균형감각을 잃는 대신 절필을 택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a modern writer’s thought in the korean modern literature. In here, the representatives of korean writers are Choi, Nam-Seon and Kim, Ki-Rim. The main subjects of this paper on them are civilization and culture. The civilization is a cosmopolitan-directional concept and the culture is a nation-directional concept. Choi, Nam-Seon sets up a exclusive relation between civilization and culture, and then he emphasizes on the culture for a making-nation. Kim, Ki-rim emphasizes on the balance of the two concepts. Later, Choi was converted to pro-japanese and Kim kept silent with putting down his pen. Kim’s choice was a his best resistance in the latest peroiod of japanese imperialism. Their choice may be signied to type of an intellectual generally in it’s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