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31년생으로 1970년에 등단한 박완서와 1952년생으로 1989년에 첫작품을 발표한 중국계 미국작가 에이미 탠(Amy Tan)의 세계는 한국과중국의 근대사를 배경으로 전쟁 등 극한 사회적 격동의 혼란에 휘말려 상처입은 가족과 특히 그 가족의 중심이 되는 여성들의 심리를 세밀하게 파헤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에이미 탠과 박완서의 첫 작품들인 『나목』과 『조이럭클럽』(Joy Luck Club)을가족, 여성성, 그리고 모성을 중심으로 분석 비교하면서 전쟁과 산업화 등 정치적, 사회적 힘이 가정에 작용하는 힘의 양상과 이에 대하여여성성과 모성이 어떠한 양상으로 반응하며 치유와 극복의 가능성을탐색하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두 작가의 작품 세계는 상처 혹은상처의 기억에 대한 여성들의 반응 양상을 기록하는 데 있어서 의미있는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나 에이미 탠이 모녀의 관계, 혹은 동일 세대 여성간의 교류를 통해 새로운 관계와 화해의 가능성을 보고 주고있다면, 박완서의 작품에서는 모성의 부정적 집착이 초래하는 소외의현상이 강조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모녀 관계는 딸의정체성 추구의 양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에 모성의 양상에 대한 관점의 차이는 딸의 시각을 중심으로 하는 작품 전체의 세계관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다.


Park,  Wan  Seo  and  Amy  Tan,  despite  their  different biological  backgrounds,  have  similar  traits  in  that  they  are exploring,  with  special  focus  on  women  an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  psychological  dynamics  in the  families  under  the  hardships  of  wars  and  the  turbulent process  of  modernization.  This  study  compares  their  respective first  works  The  Naked  Tree  and  The  Joy  Luck  Club,  which delicately  capture  the  dynamics  of  society  and  its  ideology, observing  how  they  affect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These  two  writers  have  significant  similarities  in  their  ways of  recording  womenʹs  reactions  to  the  psychological  trauma. However,  Park  emphasizes  the  negative  aspect  of  motherhood whose  obsession  with  sons  leads  to  the  daughterʹs  alienation, while  Tan  presents  the  possibility  of  womenʹs  solidarity through  positive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In  these works,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are  inseparably bound  to  the  daughterʹs  quest  for  identity  in  the  patriarchal society,  and  this  difference  explains  the  different  world‐views of  their  respective  works  which  are  portrayed  by  the daughters  as  their  center‐consciou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