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최남선이 종교적 의미를 부여하면서 까지 단행한 일제 강점기 호남의 기행이 문화사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과정이다. 호남의 산하가 민족의 정서를 대표할 수 있는 것인지, 호남의 사찰 기행이 우리나라 사찰기행을 대표할 수 있는지, 더 나아가 조선의 불교가 조선의 신화로 이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따라서 세 가지 점에 주안점을 두고 『심춘순례』를 연구하였다. 첫째, 최남선의 <불함문화>의 체험공간으로써 심춘순례가 가지는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그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주고 싶었으며 무엇을 말하고 싶었는지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이 여행은 미리 역사와 신화를 공부한 후에 기획된 재구성의 과정으로써 철저히 기획된 여행기이다. 이를테면, 지식을 통해 느끼고 싶었던 것을 미리 설정하고 난 후에 그것을 사실적으로 입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을 상기해 볼 수 있다. 둘째, 조선의 신화를 재구성하기 위해 금산사, 백양사, 내장사, 내소사, 충장사, 유마사, 송광사, 선암사, 태인사, 회암사 등 호남의 많은 산과 사찰을 통해 “ᄇᆞᆰ”과 “당굴”사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실학의 학문적 토대를 거쳐 온 최남선이 근대 공간에서 신화의 중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었던 것은 아마도 민족의 문화 유적지의 현장을 직접 답사했기 때문일 것이다. 여행의 현장성이 어떻게 “ᄇᆞᆰ”의 신화를 느끼게 하는지 보고자 했다. 셋째, 최남선에게 호남의 역사와 문화 답사는 “단군 신화” 구축을 통한 조선심을 재구성하는 역할을 했다. 이때 단군신화는 조선 신화의 근간이 되고 있으며 불교문화와 깊은 연관성을 가진다. 호남사찰을 중심으로 한 역사와 문화가 어떻게 대표성을 가지면서 조선불교와 조선의 신화가 되어 가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근대의 여행은 의지와 신념을 강화하기 위한 계몽의 성격을 가진다. 그러나 그러한 공공의 목적만이 여행의 의미를 규정하지는 않는다. 여행기 안에 들어있는 근대 지식과 조선 신화의 재구성 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xamine into the cultural desire of Choi Nam-sun’s Pilgrimage on Spring, which is the writing about the Buddhism of Chosun and the Myth of Chosun With Bulham Cultures. He tried to seek for the Bright Thought and Dangun Thought with traveling the various Honam Temples. To build up the mythical imagination in the modern mental space, Choi published Samgukyusaheje with Samgukyusa. Choi already published in such magazines as Sonyeon(Boys) and Chengchoon(Youth), after he had returned from Japan. This article examines Choi Nam-Sun’s Pilgrimage on Spring with Choi’s Myth of Chosun in three points of view. The first,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the reconstructing a cultural history through a geographical travels. Choi Nam-Sun regards the Korean mythical culture as a cosmetic viewpoint and builds a cultural history. The meaning of temples and mountains are related with the Mythicality. The second, Choi thought the Bright Thought and Dangun Thought most importantly. His research into the Bright was a political struggle against Japanese colonial cultures. He wanted the cultural nationality through the Bright Thought and Dangun Thought. The Third, Choi’s methods of studying the myth was to obtain not only the mythical identity but also the religious identity. Memorizing the myth was the sign to express his strong will. Through Honam temple travels, this article researches into Choi’s cultural mythicality. This article is to study about constructing desire of Mythical identity and Mythical Space through Mountains and temples, focusing on Choi Nam-Sun’s ‘The Mountains and Chosun Nation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