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최근 여성문학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195,60년대 여성문학사연구, 여성교양 연구를 중심으로 짚어보고자 한다. 이 연구 경향들이 여성문학의 새로운 의제를 창출할 가능성을 타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2장 여성문학사 연구의 선회-여성문학 제도 연구’에서는 전후 여성문단의 형성과 여성문학의 제도화를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3장 여성교양연구의 지류들-교양의 젠더화와 망탈리테’에서는 문학/문화 교양의 젠더화를 다룬 연구들이 전후 여성의 ‘망탈리테’를 규명하고, 남성 지배 담론에의해 체계적으로 배제되어 온 여성의 집단적 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을의미화 하는 작업이자 현재 여성-지성/지식의 위치성을 확인하고 성찰하는계기가 된다고 보았다. ‘4장 문학/문화 교양의 젠더화와 실천성’, ‘5장 1960년대 여성문학사 서술의 이론적 정립-지성과 감성 사이, ‘신진’의 의미규정’에서는 남성의 공유기억과는 다른, 여성들의 망탈리테에 기반한 젠더화된 문화적 기억의 축조,1960년대 여성문학의 세대론적 특성 규명을 앞으로의 과제로 제시하였다. 1960년대 여성문학의 특징은 세대론적으로 ‘신진’의 등장, 작품경향 상으로는 ‘지성’과 ‘감성’, 주제 상으로는 남성성의 위기에 대한 비판과 균열내기를 통한 여성작가와 독자 간의 공통감각 형성이라고 파악하였다. 지금까지본격문학사에서 배제되어 왔던 여성작가들의 대중소설 역시 순응과 일탈의 양가성을 수행했던 것으로 재평가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후 여성교양과 여성문학사 연구는 침묵당하거나 배제되어 온 여성의 주변적 정체성과 글쓰기 욕망에 역사성과 실천적 의제를부여하는 작업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This thesis inspected the latest studies about women’s literature, speciallywomen’s literary history in 195,60’s and female culture, media. These studiessuggested the new issues in women’s literary study. In ‘2. turning point of study about women’s literary history-women’s literaryinstitution’, those studies dealt with the formation of women’s literary fieldin post Korean war period, and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literature. In‘3. branches of studies about female culture-the gendered culture and commonsense’, studies about gendered literature/culture could investigate the women’scommon senses in post Korean war period, the construction of women’s collectiveidentity and could comprehend the positionality of present women’sintellect/knowledge. ‘4. engendering of literature/culture and its activity’, ‘5. theoreticalestablishment of women’s literary history in 1960’s-between intellect andsensitivity, and meaning of young generation’ proposed the gendered culturalmemory, which differs from men’s common memory, and investigation ofwomen’s literatures in 1960’s as new generation stream. That is, the appearanceof young generation, ‘intellect’ and ‘sensitivity’ in tendency, and the criticismor cracking about masculinity, formation of common sense between womenwriters and readers in themes. And the women’s popular novel performed the ambivalence of conformity and deviation, even though it was excluded fromthe male-centered literary history until now. In conclusion, the studies about female cultures and literary history inpost Korean war period, and 1960’s can be the historical and practical strategies,related with the women’s local identity and desire for wri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