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의 목적은 패널 GLS를 이용해 중국의 전력소비 결정요인을 추정하는데 있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GDP가 중국의 전력수요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가지며 전력수요의 주요 결정요인임이 증명되었다. 특히 동부지역의 계수값이 전국 보다 크게 나옴으로써 동부지역의 생산규모가 전력소비에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지역별 평균 전력소매가격 변수와 상대가격 변수도 전력소비에 유의하게 부(-)의 영향을 주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는중국의 현재 소매가격이 정부규제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전력소비에 있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산업구조 변수는 전국모형에서 전기소비 증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으며동부지역의 추정계수도 높은 유의성을 가지면서 부호도 같은 방향으로 나왔다. 이 역시 중국의 산업구조 여건상 높은 산업비중이 전력소비의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증명하고 있다. 넷째, 도시화율의 추정계수는 동부지역 모형에서 이론과 부합하지 않게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왔는데 이는동부지역의 도시화 특성에 기인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정부의 에너지소비규제 변수는 전력소비 감소에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주고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결과는 중국의 지역특성에 따른 전력소비관리 정책의 필요성, 산업구조 고도화를 통한 전력 소비구조의 개선 및 에너지소비규제 강화 등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Chinese electricity demand, using panel dataset during the period 2006-2011. The main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we find that GDP is a main determinant of the electricity demand in China. In particular, higher GDP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electricity consumption in the eastern area of China relatively more than other areas as panel GLS estimation results show the coefficient of GDP in the eastern area is larger than that of the whole country. Second, the electricity retail price and relative pric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electricity consumption, while industrial structure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it. Third, the coefficient of urban rate on the basis of eastern area of China enters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while the coefficient of urban rate on the basis of whole country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is mainly driven by the regional differences and features in the eastern area. Finally, government regulation of energy consumption significantly decreaseselectricity consumption in all models. These results have a few policy implications: (i) electricity consumption management should be based on the regional features; (ii) upgrading of industrial structure and strengthening government regulation on energy consumption improve electricity consumption structure. electricity consumption in all models. These results have a few policy implications: (i) electricity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