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제력집중억제를 위한 대규모기업집단 시책을 평가하고 개선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경제력집중을 일반집중, 다각화, 소유집중의 세 차원의 문제로 나누어, 2000년 이후 그 정도가 실제로 어떻게 변화해왔고, 그로 인해 초래될 폐해가 얼마나 심각할지를 가늠해보았으며, 또 최근의 변화가 대규모기업집단시책의 기조변화와 관련이 있는지의 여부를 실제의 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외환위기 이후 대규모기업집단 시책의 기조를 출자규제로부터 탈피하여 소유집중과 내부거래로 인한 부정적 효과를 방지하는 쪽으로 전환하고, 나아가 규제방식도 사전규율에서 시장의 사후감시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은 적절한 방향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소유집중과 경쟁을 저해하지 않는 부당지원행위 등은 기업지배구조의 문제이므로 대규모기업집단 시책과 함께 별도의 정책적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aise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big business group policy for restraining the economic concentration, and suggest reforming issues. In recent 10 years the paradigm of the Korean big business group policy has changed in two respects. One is that the focus of policy has been moved from regulating their stock pyramiding to preventing the bad results from the ownership concentration and inside trade. The other is that the regulation method has changed from pre-discipline to post-monitoring through market. We investigated the trend of the degree of economic concentration and its harmful influences since 2000 in three dimensions: overall concentration, diversification, ownership concentration. We also examined whether the recent changes in the degree of the economic concentration is related with the recent changes in the big business group policy or not. From these works we can conclude that the two recent changes of the policy paradigm is pertinent, but a separate policy effort against the ownership concentration and inside trade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