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청소녀들의 계급정체성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성역할과 성경험의 맥락에서 가출의 동기, 생활, 종결을 분석한 ‘청소녀의 가출 의미’에 대한 시론이다. 여기서 계급(정체성)이란 어떤 개인의 삶을 구성하는 원리로서의 경제적 생산 양식의 구조가 아니라 다른 사회구성 원리와의 상호작용 속에 놓인 사회적 생산관계 속에서 자신의 삶의 방식을 만들어 내는 개인의 관계적 실천양식을 말한다. 청소녀들의 가출은 젠더와 계급에 따라 기대되는 사회적 의미체계 안에서 작동하는 성역할과 성경험에 따라 그 의미가 다르며 그 종결의 맥락도 다르다. 가출을 통해 특정 계급의 청소녀들이 성별 권력관계에 뛰어 들게 되는 것은 사적/공적 성별 권력관계가 그녀들에게 주는 ‘일종의 보상체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출은 다양한 위치에서의 다양한 보상체계를 작동시키는 각각의 청소녀들의 전략적 협상들로 설명할 수 있다. 비슷한 연령대의 청소녀라 할지라도 계급정체성에 따라 성역할, 성경험이 다르다는 것은 가출뿐 만이 아니라 원조교제, 성폭력, 성매매의 의미를 다른 차원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뿐 만 아니라 청소녀들의 맥락에 따라 가출 의미가 다르다는 것은 계급정체성에 따른 가출 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함의한다. 또한 어떤 사회의 어떤 교육과 가치가 제시되느냐에 따라 여성들에게 기대되는 성역할과 성규범이 변화할 수 있으며 계급 차이에 따른 젠더/섹슈얼리티 변화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청소녀 가출을 새롭게 위치시킬 사회문화적이고 물질적인 변화를 근본적으로 고민해야 하며 청소녀 스스로 자신의 삶을 계획/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과 상상력을 갖도록 이 사회에서 그녀들을 재 위치화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 청소녀의 ‘문제’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청소녀가 접근할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의 정도와 그에 대한 인식(계급정체성)을 세분화하여, 전통적 여성의 성역할과 성경험에 대한 선택과 저항, 그리고 협상이 그녀들의 삶에 어떠한 의미를 만들어내는지를 다양한 맥락에서 정교하게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teenage girls' runaway-culture through the concept of gender role and sexuality intersected with class for repositioning the context of runaway-culture. This paper uses the concept of class as a class identity that is informed by social positions such as gender and sexuality and in which one comes to know how one is positioned. Teenage girls' runaway cultures are taken up in different ways by gender role and sexuality which are informed by gender and class. They are motivated by ‘gender pay-back system' which is categorized by class. And girls negotiate between them and their social positions in strategic ways through their agency which is circumscribed by and accessed into ‘gender pay back system'. A class as a social position enables and limitates girls' subject positions. This paper demonstrate how girls' experiences of gender issues such as sexual violence and prostitution are class-based categorized. This founding requires some policies which is able to consider class. There are differences of a way of experiencing runaway in terms of gender role and sexuality and that means gender roles and sexuality are informed by an education based on specific value and class. The conclusion requires some prospective alternatives which can make effects on life of under-class girls as a independent sub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