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내학대와 아동학대의 중복발생이 현대사회의 보편적 사회문제 현상임을 전제하고 그 현상과 관련된 여성주의의 비판적 논점들을 확인하여 여성복지적 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피해자비난모델과 모성비난모델, 남성의 비가시화와 여성의 병리화, 실천과 연구의 편의성, 두 현장간의 실천가치 갈등 등의 복합적 이슈들이 두 문제의 중복현상을 바라보는 사회적 인식과 문제해결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내학대 피해여성의 병리에 초점을 두거나, 아동학대발생시 어머니의 자녀보호 실패에 주목하는 것은 두 문제의 중복발생시 피해자인 여성에게 이중적 책임을 부과하여 그 여성의 권리침해와 역량위축을 초래한다. 피해여성들의 권리옹호와 역량강화를 위한 정책과 실천은 피해자비난과 모성비난 이데올로기의 극복이 전제되어야 하며, 피해 여성과 아동 모두의 안전과 권리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는 연계적 대응과 협력을 포함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omen's issues in social welfare from feminist points of view on linked understanding and responses to wife abuse and child abuse. It demonstrates how 'ideologies of victim-blame and maternal blame', 'excusing men inisible', 'pathologizing women', and 'conflictual values between two fields of wife abuse and child abuse' have impacts on society's perceptions and problem-solving related to the co-occurence of the two problems. Paying attention to the pathology of the victim of wife abuse and the mother's failure of protecting her child results in disempowering the woman in terms of giving her dual responsibilities for the overlap of wie abuse and child abuse. The subjugation of the ideologies of victim-blam and maternal blame should be preceded, and linked responses to the safety and rights of both women and children should be included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empowering the woman vict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