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문화산업이 과연 여성에게 괜찮은 일자리로서의 대안과 전망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문화노동의 특성과 젠더의 문제에 대해 영국의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있다. 최근 문화노동 연구자들은 문화산업의 자유롭고 창의적이며, 유연한 업무 특성이 여성에게 보다 유리하고 적합한 일자리가 되기보다는, 문화산업이 여성에게 새로운성별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장소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문화노동은 프로젝트에기반한 노동의 불안정성, 네트워크화된 노동방식, 개인의 자율성에 기반한 자기 착취증대라는 노동의 특성을 갖고 있다. 이같은 문화노동의 특성과 관련하여 여성들은 새로운 성별 분리, 지식과 창조적 역할의 위계화, 네트워크에서의 배제와 주변화, 다중역할과 역할의 재전통화를 경험하고 있다는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gender iss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ultural work in the UK creative industries. Generally cultural industry are idealized free, creative, flexible and egalitarian images. And so cultural work is suitable and decent work for women who are facilitating work and family. But many recent studies on cultural work has pointed out that reproduce the new gender inequality in the cultural industry. Cultural work is characterised instability of the project-based work, networked working relations and the self-exploitation of labor process based on individual autonomy.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cultural work, many women cultural laborer are experienced new gender segregation of labor, gendering of knowledge and creative roles, exclusion and marginalization in the network relations and retraditionalization of gender roles in UK creative indus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