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노동시간의 소득계층별 차이와 분포 및 추이를 드러내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노동시간을 주변적시간제, 시간제, 표준노동시간, 장시간으로 구분하고 소득분위별 상대분포를 비교한 결과, 소득 하위 20%는 주변적시간제 내지 시간제일자리에, 소득 2분위에서 4분위까지 60% 가량이 장시간 노동에, 상위 20%는 표준시간노동에 종사하였다. 한국의 노동시간은 단시간-저소득의 유형Ⅰ, 장시간-중위소득의 유형Ⅱ, 표준시간-고소득의 유형Ⅲ으로 계층화된다. 노동시간 유형에 대한 패널 다항로짓 분석결과 월평균 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단시간, 중위임금-장시간, 고임금-표준시간의 유형이, 시간당 임금을 기준으로 저임금-초장시간, 중위임금-장시간, 고임금-표준시간 유형이 확인되었다. 시간당임금 및 월임금, 비정규직 비율, 직업군, 연령대를 중심으로 노동시간의 계층화가심화되었다. 소득 하위 20%에 대해서는 최저임금 인상, 중위소득 60%를 포함한 다수의 노동자에 대해서는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고용창출이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is working-time of Korea focusing on “the difference and the distribution” by a stratum. Classifying working-time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marginal part-time, part-time work, standard-time work and long-time working, it compares the relative distribution by income quintile. The outcome is as following : 20% of low-ranking income quintile are (marginal) part-time working, 60% from income quintile 2 to 4 are in long-time working and 20% of top-ranking income quintile are in the standard-time working in overall. Working-time classes can be divided up into three: short time-low income of type 1, long time-medium income of type 2 and standard time-high income of type 3. Analysing working time type, the low wage-short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month and low wage-very long time, medium wage-long time and high wage-standard time by the wage per hours are confirmed. Also, stratification of working- time has been intensified in terms of age, jobs and work status. Policy implication from this study is that the increase of minimum wage to the lowest income class and creation of employment by the reduction of working-time to the medium income class could be effective polic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