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5년 기간(2008년~2013년) 동안 좋은 일자리에 근무하던 임금근로 장애인의좋은 일자리 유지 및 좋지 않은 일자리 하향이동 현황을 살펴보고, 개인적 특성, 인적자본, 일자리 요인들이 좋은 일자리 유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 1차 년도부터 6차 년도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패널로짓 확률효과 모델로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좋지 않은 일자리로 하향 이동한 비율은 26.2%, 좋은 일자리를 유지한 비율은 73.8%인 것으로 나타났다. 좋은 일자리 유지에 일자리 요인인 적성부합, 사업체 규모, 근로자 복지에 대한 의지, 직무조정, 직장이동이 강력하게 영향을 미쳤으나, 개인적 요인 중에서 단지 성별만이 영향을 미쳤고 인적자본 요인 중에서는 어떤 변인도 영향을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좋은 일자리 유지를 위해서는 취업 시부터 근로자의 적성이 부합됨은 물론 근로자 복지에 대한 의지가 있고 고용 안정성이 있는일정규모의 사업체에 연계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취업 후에도 근로자 복지 에 대한 사업주의 인식 개선 및 교육, 그리고 예산, 전문인력 지원 등 직무조정 서비스를 정책적으로 확대할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ent situation on the retention of good jobs and the mobility into bad jobs among disabled workers with good jobs for five years(2008~2013), an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retention of good jobs in terms of individual, human capital and job effects. By analyzing the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 using the Panel Logit Random Effects Model, we found that 73.8% of disabled workers remained employed in their good jobs, whereas 26.2% of them fell into bad jobs. ‘Size of enterprise’, ‘willingness to improve employee’s welfare’, ‘aptitude’, ‘job accommodation’ and ‘job turnover’ as job factors, ‘sex’ as an individual factor, and none of human capital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retention of good jobs. Theses results suggest that strategies for job placement before being employed should consider size of enterprise, individual worker's occupational aptitude, employer’s awareness of employee’s welfare, and the proper job accommodation services for the retention of good jobs. After employment, government should continue to support education for employer’s awareness of employee’s welfare and subsidy for job accommodation ser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