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정책 대상 집단의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고 주관성 요인을 발견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Q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평생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은 ‘이상(理想)사회와 평생낙습(平生樂習)’, ‘현실주의와 외재적 학습 동기’, ‘유능한 자기중심 평생학습’, ‘지역사회공동체와 현장지향’으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인 이상 사회와 평생낙습은 평생교육의 사회적 의미에 주목하며 고용과 소득보다 상대적으로 환경과 지속가능성 등에 동의하면서 학습 자체가 갖는 즐거움을 중시하였다. 제2유형인 현실주의와 외재적 학습 동기 유형은 평생교육 참여와 관련된 시간과 비용에 민감하며 프로그램의 우수성을 중요시 하였다. 제3유형인 유능한 자기중심 평생학습에서는 평생교육에 대한 개인의 자율성과 그에 상응하는 책임을 중시하였다. 동시에 평생교육의 사회적 성과에 대한 기대치가 타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며 행복한 삶을 위한 학습의 의미에 대해서도 긍정적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제4유형인 지역사회공동체와 현장지향은 지역사회공동체에 대한 평생교육의 의미와 역할, 현장에서 보다 많은 사람들이 평생교육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한 우수한 프로그램 확보와 홍보 및 마케팅의 강화를 중요시하였다. 이러한 지역사회와 현장중시와 맞물려 성인학습자에게 친화적인 대학의 역할과 기능 변화를 지지하였다. 이러한 네 가지 인식 유형에 대해서는 인식 유형별 공통성과 차별성이 논의되었으며 평생교육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olicy target groups’ perceptions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explore human subjectivity. Applying Q methodology, four types of perceptions on lifelong education were identified; ‘Idealistic society and lifelong-amusing learning’, ‘Realistic and external learning motives’, ‘Competent self-centered lifelong learning’, and ‘Local community and practices’. TypeⅠ ‘Idealistic society and lifelong-amusing learning’ was categorized as focusing on the social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amusement from learning itself while agreeing with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rather than employment and earning. TypeⅡ ‘Realistic and external learning motives’ was categorized as focusing on the excellence of learning programs while being sensitive to time and expense related to learning participation. TypeⅢ ‘Competent self-centered lifelong learning’ was categorized as focusing on individual autonomy and responsibility as the corresponding feature. At the same time it showed relatively low level of expectancy for the social outcomes of lifelong education and the meaning of learning towards well-rounded quality of life for all. TypeⅣ ‘Local community and practices’ was categorized as focusing on the meaning and the role of lifelong education for local community. Also it weighed the acquisition,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for better educational programs which could contribute more people to participate to lifelong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features, it advocated the changing roles and functions of higher education more friendly with adult learners. These four types were discussed with the congruency and distance among each type’s perceptions. Finally, implications for lifelong education practice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