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세계경제의 블록화와 한중일 3국간의 교역증가에 따라 제조업체와 유통업체의 역량 집중이라는 측면에서 제3자 물류업체의 이용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선진국에 비해 제3자 물류의 이용이 낮은 편인 국내시장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제3자 물류의 중요성과 국내 시장 현황을 파악하고, 제3자 물류 이용 동기와 선정기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업체 매출액 규모별, 수출입 유무별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이들 기업들이 물류를 아웃소싱 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들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제3자 물류업체의 이용 동기 중요도에서 연간매출액 50억원 이상 그룹과 50억원 미만그룹은 물류비용 절감 항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수출입을 하는 그룹과 하지 않는 그룹은 각각 물류비용 절감, 핵심역량 집중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제3자 물류업체의 선정기준 중요도에서는 연간매출액 50억원 이상 그룹과 50억원 미만 그룹은 각각 물류서비스 수준과 물류업체 인지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수출입을 하는 그룹과 하지 않는 그룹은 각각 물류업체 규모와 물류업체 인지도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제3자 물류를 이용하지 않는 이유로 연간매출액 50억원 이상 그룹과 50억원 미만 그룹은 기업정보 유출 우려를, 수출입을 하는 그룹과 수출입 하지 않는 그룹은 각각 더 많은 비용의 소요, 기업정보 유출 우려를 가장 중요한 이유로 선택하였다. 제3자 물류기업들은 각 기업들의 특성과 규모, 니즈에 고려하여 화주의 요구에 다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별적인 전략과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즉, 화주기업의 규모와 수출입 여부 등을 고려하고 화주업체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물류실태를 파악하여 물류 아웃소싱의 프로세스를 분석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