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 결과에서는 수면의 질의 악화는 삶의 질을 크게악화시킨다는 단순한 사실뿐만 아니라 삶의 질의 다양한 요인들이 수면의 질의 여러 요인들로부터 영향을 받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수면 방해나 주관적 수면의 질 척도 등의 주관적인 지표 항목이 수면 시간이나 수면 잠재기 등의 객관적인 지표 항목보다 삶의 질에 더 크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수면 장애에 대한 접근을 할 때 수면 시간 및 수면 효율 등의 객관적인 지표에만 집중하여 치료를 하기 보다 주관적 수면의 질이나 수면 방해, 낮동안의 기능장애와 같은 주관적인 지표 등을 더욱 고려해야 함을 보여주었다. 이를 바탕으로 노인들의 삶의질을 실제로 올릴 수 있는 불면에 대한 접근 방법과 관리 모델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sleep quality affects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of rural communities. Methods 877 elderly people aged 60 or over living in C town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responded to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EuroQol-5 dimension, Korean version of the short fro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 and the presence of urinary incontinence. Results Most scores of the items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except self-management,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total score of the sleep quality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positives and the negatives of the sleep quality test in the scores of all the detailed items of the quality of life index. Among the detailed items of quality of sleep, subjective quality of sleep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the subjective indicators such as subjective sleep quality and sleep disturbance affected quality of life in the rural lives of elderly people more than the objective indicators such as sleep durations or sleep latency peri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e concluded that a methodological approach and a management model to treating insomnia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ould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