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중국 중앙행정부의 행정기능과 행정기구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 우선 중국의 국가기능과 기구로부터 행정기능과 기구를 도출하고, 이를 클락디어모형에 따라 생산기능, 합의기능, 통합기능, 집행기능으로 분류했다. 이를 가지고 중국 중앙행정부의 기능과 기구변화를 전반적인 시기(1949~2003년)는 표와 도표를 통해서, 그리고 국무원의 변화가 두드러진 결정적 분기점의 세시기는 기능과 기구의 변화를 세부적으로 실증 분석했다. 분석결과 국무원의 기능과 기구 중 생산기능이 가장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다음으로 합의기능이 중국 정치적 격변, 공산당과의 관계 등의 영향으로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계획경제에서 사회주의시장경제로 전환되면서 집행기능과 통합기능이 점차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경제성장에 따른 보건, 교육, 문화, 정보 분야의 행정수요의 증가와 부합함을 시사한다. 이런 실증분석을 통해서 중국 중앙행정부의 기능과 기구변화는 역동적인 변화유형을 보여주며, 초기 국무원의 기능과 기구를 변화시킨 동인은 체제나 정책이 주도하였는데 점차 시장이 변화의 동인으로 자리 잡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