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변화혁신의 확산요인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이 개별적이고 독립적으로 연구되어온 까닭에 변화혁신 확산의 중요한 요인들이 무엇인가에 대한 통일된 관점을 독자들에게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정책 추진자들에게 변화혁신 사업의 계획과 집행에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그리하 여 본 연구는 기존의 변화혁신의 확산요인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의 연구들과 사례들을 분석하여 공통 관 점들을 사례들과 함께 분석하고 시사점들을 도출하여 기업 및 정부에서 변화혁신정책을 추진하고 있는 정책결정자 또는 실무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변화혁신의 확산요인과 사례들에 대한 분석은 기존의 연구들을 종합하여 공통된 관점을 혁신요소들의 복합성과 사례, 캐즘(chasms)과 사례, 지역혁신체제와 사례, 네트워크와 사례, 전염성과 사례, 모방과 사례, 변화혁신 프로세스와 사례 등으로 범주화 하였다. 변화혁신정책 추진에 주는 시사점들로는 감성적 정서적 요인에 제대로 작동되어 야 한다, 혁신공급자의 리더십과 혁신수용자의 맥락이 조화되어야 한다, 모방을 위한 모방이 아니라 창 조적 모방이어야 한다, 사회자본과 심리자본이 확충되어야 한다, 사회네트워크 시스템은 혁신확산의 인 프라로 구축되어야 한다, 협곡을 뛰어넘을 수 있는 에너지와 역량을 축적해야 한다 등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s to find common factors affecting diffusion of change-innovation(chinnovation), the chinnovation resulting in desirable changes and innovative results, and to suggest critical implications for people related policy-processes. For these purposes, the study, first, analyzed various works done by researchers and scholars in the area of chinnovation. And then, it deduced and suggested critical implications extracted from the analysis. Factors affecting diffusion of chinnovation analyzed through such categories as characteristics of chinnovation factors, chasms, decentr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networks, epidemics, imitation and invents, and chinnovation processes. Implica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those related to such factors as emotional aspects of chinnovation, customers' value and norm, imitation that is not always better than invents, and spiral characteristics of chinno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