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Lüder의 상황모형을 활용하여 정부가 1998년 5월 이후 추진 중인 우리나라 정부회계제도개혁과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기초로 정부회계제도개혁의 성공적 수행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정부회계제도개혁과정에는 외환위기로 인해 촉발된 재정압박(충격변수)과 조직화된 압력집단(사회구조변수)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IMF, OECD 등 국제기구의 발생주의에 기초한 재정개혁 권고, 자동분개프로그램과 같은 정부회계업무의 전산화, 그리고 외국 정부회계제도개혁 성공사례의 시사점 등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회계전문가집단 참여 미흡(사회구조변수), 폐쇄적 회계공무원 충원 방식, 공공부문 회계기준 제정조직의 부재, 정부회계제도개혁 추진조직의 이원체계, 각 부처 재정관리업무 총괄조직의 부재(행정구조변수), 그리고 상당히 미흡한 회계공무원 능력(시행상 장애) 등에 대해서는 보완작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provides an analysis of the process of governmental accounting reform in Korea. It also considers an alternative strategy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adoption of the new accounting system in Korea. By applying Luder's Contingency Model, this analysis shows that there are fewer barriers to reform than expected, and the new system has a good prospect of successful application in terms of stimuli(fiscal stress) and societal structural variables(organized pressure group). And international pressures such as the recommend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uch as IMF and OECD, the computerization of accounting system, and successful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provide positive stimuli to the successful accounting transformation in Korea. However, there are possibilities that the shortage of accounting specialists, closed staff formation system and inadequate public sector standard setting organization, and low level of staff quality may influence the reform process in a negative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