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 사회 내부에서 소외되고 차별받는 소수자, 해외로부터 유입되는 소수자, 그리고 개성 과 양심에 따라 스스로 소수자가 되는 사람들이 얽혀있는 현재의 한국사회를 ‘다문화사회’로 규정하면서, 다문화시대와 관련된 담론을 고찰하고 이에 따른 행정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포함하는 세부적인 주제는 1)한국사회에서 가속화되고 있는 소수자운동의 압력과 그에 대응해야 할 행 정 및 행정학 연구의 필요성 2)다문화시대에 대한 3가지 다른 견해와 ‘다문화주의시대’로서의 다문화시 대의 이해 필요성, 3)소수자 운동에 대한 3가지 견해: 급진주의, 개량주의, 후견주의, 4)소수자운동에 대한 행정의 대응양식: 인권주의 양식과 관리주의 양식, 5)소수자행정의 수행을 이해를 위해 필요한 소 수자 생성과정에 대한 담론과 소수자 유형의 분류, 6)소수자행정에서 구체적으로 다루어야 할 네 가지 행정-인권, 고용, 복지, 교육-분야, 7)소수자문제와 운동, 그리고 소수자 행정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연 구 필요성, 의의, 한계 등에 관한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stimulate a discourse about the Korean minority movement and to develop new agenda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cently the Korean public have seen Korean society change from a unilateral to a multicultural society. Korea now has diverse domestic minority groups as well as foreign minorities such as foreign workers and immigrant spouses. This study suggests 3 different perspectives (radicalism, reformism, and sponsorship) for minority movements, the modes of administrative responses (human right mode and management mode), and the typology of minorities. It also emphasizes four areas (human rights, employment, welfare, and education) as important tasks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