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이공계 기피 현상이 나타나고 공직에서 차지하는 기술관료 비율이 적은 현실을 언급할 경우, 중국이 이공계 출신 우대정책을 추진한 결과 기술관료가 득세하였다고 판단하고 우리나라 문제의 해결방안을 제시한다면 오류를 범할 수 있다. 중국에서 기술관료가 형성되고 두각을 나타낸 배경을 살펴보면, 우선 맥락 차원에서는 사회주의 건설, 사상개조운동, 문화대혁명의 영향을 받은 점, 제도 차원에서는 사회주의 건설 과정에서 이공계보다 상대적으로 인문사회계열 관련 교육제도 및 인사제도가 곡절과 침체를 더 겪은 점, 행위자 차원에서는 중리경문이라는 사회적 요청과 기회를 잡은 기술관료들이 핵심 국가기구의 요직을 장악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경쟁시대를 맞아 전문기술과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기술관료보다는 금융·재정관리 능력, 복잡하고 첨예한 갈등조정·소통 능력, 당정과 사회부문 및 민간부문 등을 조율할 수 있는 거버넌스 역량을 가진 다양한 학력배경과 조직경력을 가진 관료의 수요 및 충원이 중요해지고 있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우리 정부는 대증요법식의 이공계 혹은 문과 중심의 우대정책을 추진하는 것을 지양할 필요가 있다. 보다 근원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접근은 글로벌 경쟁시대와 급변하는 행정환경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하고 복잡한 행정수요를 충족시키고 정책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인재를 어떻게 육성·충원·관리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이에 부합하는 제도설계나 정책수단을 강구하는데 있다.


As many college students are avoiding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nd the ratio of technocrats in public service is very low in Korea, we tend to consider the case of China as a role model whose prior policy caused science and engineering graduates to become prevailing technocrats in the Chinese regime. Then, we might propose improper methods to solve those situations. When we scrutinize the background of how technocrats in China could be formed and emerge, we find the following: first, the prevailing technocrats were affected at the contextual level by Socialist Construction, Thought-Remodeling Movement, and Cultural Revolution; second, at the institutional level,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HRM institution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ather tha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impeded; last, at the actor level, the influential technocrats who took advantage of social needs and opportunities, chongliqingwen, were in power. However, confronted by an era of global competitiveness, the Chinese government prefers bureaucrats with varied academic backgrounds and careers, such as fiscal and financial management, conflict management, and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the party-government and the social-private sector, to technocrats who have only professional skills and problem-solving capacities. The implication in this paper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reject driving a prior policy that focused on particular fields of specialization and instead value a fundamental plan. As global competitiveness intensifies and the environ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undergoes radical chang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cultivate, recruit, and manage its human resources who can deal with complex administrative needs and policy issues, by providing institutional design and policy instru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