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1970년대 후반 이후 실시된 OECD 회원국들의 정부개혁 내용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특정 내용의 정부개혁을 가져오는 제도적 조건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 OECD 회원국의 정부개혁 내용을 5가지로 분류하고, 국가별 특징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또 부울 연산법을 이용하여 이들 국가들의 제도적 특성 가운데 어떠한 제도적 조건들이 특정 내용의 정부개혁을 가져오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로 영미권 국가들은 시장기제 활용을, 유럽 대륙국가들은 권한위임을 통한 정부개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장기제 활용을 가져오는 제도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다수제 내각・공익적 행정문화・정치인과 관료의 분리” 또는 “단방제・합의제 내각・법치국가적 행정문화・정치인과 관료의 정치적 관계” 가운데 어느 한 조건만 충족하면 되고, “다수제 내각・공익적 행정문화・정치인과 관료의 분리” 조합이 시장기제 활용에 더 중요한 조건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governmental reform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In order to explore this issue, this study is divided two steps. First, . the governmental reforms of 12 OECD member states were categorized into five reform types. Second, this study employed an explicitly Boolean approach to explain the linkages between governmental reform and institutional conditions. Analysis revealed two combinations linked to the outcome (market-type mechanisms): majoritarian executive combined with administrative culture of public interest, and divided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executive and civil servants; or unitary state combined with consensual executive, administrative culture of Rechtsstaat, and political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executive and civil servants.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majoritarian executive, administrative culture of public interest, and divided relationships between political executive and civil servants is more important for the use of market-type mechanisms.